앱으로 편하게 발견하세요
구글플레이 다운로드 애플스토어 다운로드QR코드 다운로드
[시그널랩] 마감 시황 및 주요 경제지표 체크 - 3/21
3/21 (금) 마감 리뷰
◆ Market
- KOSPI: 2,643.13 (+0.23%)
- KOSDAQ: 719.41 (-0.79%)
- NIKKEI 225: 37,677.06 (-0.20%)
- 상해종합지수: 3,364.83 (-1.29%)
- 대만 가권: 22,209.10 (-0.75%)
- 원달러: 1,463.70 (-0.20%)
- 코스피 수급 동향: 개인(-5,396억), 기관(-3,995억), 외국인(+8,500억)
- 코스닥 수급 동향: 개인(-1,665억), 기관(+1,167억), 외국인(+510억)
- 선물 수급 동향: 개인(-1,319억), 기관(-2,037억), 외국인(+4,156억)
- KOSPI 프로그램 동향: 차익(-262억), 비차익(+4,157억)
◆ Comment
- 우리 증시는 KOSPI 상승, KOSDAQ 하락하며 혼조세로 마감. 개장 초반 양 시장 하락 출발했지만, 장중 KOSPI를 중심으로 낙폭 회복 및 KOSPI는 상승 전환에 성공.
- 반면 KOSDAQ의 경우 HLB 그룹주를 중심으로 약세를 보이면서 KOSPI와 차별화된 모습 연출. HLB 그룹주들은 리보세라닙의 FDA 승인 불발 소식이 악재로 작용.
- 외국인이 현선물 동반 순매수에 나선 가운데, 기관은 KOSDAQ에서만 순매수를 기록. 개인은 현선물 동반 순매도.
- KOSPI에서 외국인은 전기전자 업종을 중심으로 운송장비부품, 기계장비, 유통, 건설 업종 등을 순매수. 개인과 기관은 전체적으로 순매도를 보였지만, 개인은 제약, 화학, 금속, 금융 등 다수의 업종을 순매수, 기관은 유통, 음식료담배 등 일부 업종을 순매수.
- KOSDAQ에서 기관은 기계장비, 전기전자, 화학, 금융 등 대부분의 업종을 순매수했으며, 외국인은 전기전자, 기계장비, 금융 등 다수의 업종을 순매수. 개인은 대부분의 업종을 순매도햇지만, 제약 등 일부 업종에서는 순매수를 기록.
- 시장이 대체로 약세를 보이면서 하락 섹터가 다수를 차지한 가운데, 온디바이스 AI 등 AI 반도체 섹터 정도가 강세. 마이크론의 실적 발표 이후 AI 반도체 업황 개선 기대감이 높아졌기 때문.
- 아시아 증시는 대체로 약세 마감. 일본 니케이225(-0.20%), 중국 상해종합(-1.29%), 대만 가권(-0.75%) 등.
다음주(3/24~3/28) 눈 여겨 봐야 할 주요 경제지표
3/24 월요일
● (일본) 3월 서비스업 PMI
- 이전: 53.7
● (독일) 3월 제조업 PMI
- 이전: 46.5
● (EU) 3월 제조업 PMI
- 이전: 47.6
● (EU) 3월 서비스업 PMI
- 이전: 50.6
● (미국) 3월 제조업 PMI
- 이전: 52.7
● (미국) 3월 서비스업 PMI
- 이전: 51.0
● (미국)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 연설
● (미국) 마이클 바 연준 부의장 연설
3/25 화요일
● (한국) 3월 소비자신뢰지수
- 이전: 95.2
● (독일) 3월 기대평가지수
- 이전: 85.4
● (독일) 3월 현행평가지수
- 이전: 85.0
● (독일) 3월 Ifo 기업환경지수
- 이전: 85.2
● (미국) 2월 건축승인건수
- 이전: 147만 3천 건
● (미국) 1월 S&P/CS 20대 도시 주택가격지수
- 이전: YoY +4.5%, MoM -0.1%
● (미국)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연설
● (미국) 3월 CB 소비자신뢰지수
- 이전: 98.3
● (미국) 2월 신규 주택판매
- 이전: 65만 7천 건(MoM -10.5%)
3/26 수요일
● (영국) 2월 소비자물가지수
- 이전: YoY +3.9%, MoM -0.1%
● (미국) 2월 내구재 수주
- 이전: MoM +3.2%,
● (미국) 2월 근원 내구재수주
- 이전: MoM +0.0%
● (미국) EIA 주간 원유재고
- 이전: 174만 5천 배럴 증가
● (미국) 닐 카시카리 미니애폴리스 연은 총재 연설
3/27 목요일
● (미국) 신규 실업수당 청구건수
- 이전: 22만 3천 건 증가
● (미국) 4분기 GDP
- 이전: QoQ +3.1%
● (미국) 4분기 근원 개인소비지출물가
- 이전: 2.7%
● (미국) 4분기 GDP 물가지수
- 이전: QoQ +1.9%
● (미국) 2월 잠정 주택매매
- 이전: MoM -4.6%
3/28 금요일
● (영국) 2월 소매판매
- 이전: YoY +1.0%, MoM +1.7%
● (영국) 2월 근원 소매판매
- 이전: YoY +1.2%, MoM +2.1%
● (독일) 4월 GfK 소비자동향
- 이전: -24.7
● (미국) 2월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 이전: YoY +2.5%, MoM +0.3%
● (미국) 2월 근원 개인소비지출 물가지수
- 이전: YoY +2.6%, MoM +0.3%
● (미국) 3월 미시간대 기대 인플레이션
- 이전: 4.3%(1년), 3.9%(5년)
● (미국) 3월 미시간대 소비자지수
- 이전: 64.0(기대지수), 64.7(심리지수)
● (미국) 라파엘 보스틱 애틀랜타 연은 총재 연설
3/21 (금) 눈 여겨 봐야 할 주요 경제지표
● (미국)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 연설
# 오늘은 미국의 존 윌리엄스 뉴욕 연은 총재의 발언이 중요. 3월 FOMC가 끝난 직후이기 때문에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기자회견 발언과 크게 다른 내용이 나오기 어렵겠으나, 그럼에도 FOMC 이후 첫 연준 위원의 발언이라는 점에서 상당히 중요.
# 윌리엄스 총재는 3월 FOMC 직전의 발언에서는 인플레이션 기대에대한 우려가 줄어들었고, 불확실성 문제가 경제를 압박하고 있는지 말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언급.
# 오늘 예정된 발언에서는 그 때의 발언과 비교할 때 얼마나 입장이 달라졌을지가 중요. 특히 직전 발언이 2월 11일로 FOMC 시점과 비교해서도 시차가 있다는 점에서 입장의 변화가 있었을 가능성이 있기 때문.
# 이외에는 최근 좋지 않은 모습이 계속되는 기대 인플레이션과 소비자 심리지수에 대한 평가도 중요.
# 파월 의장은 FOMC 직전 발언에서 심리지표가 최근 몇 년 동안 소비 성장세에 대한 좋은 예측 변수가 아니었다고 발언했으며, FOMC 기자회견에서는 소비심리가 급격이 약화된 것은 이해하지만 경제활동 자체는 아직 둔화되지 않았다고 발언.
# 윌리엄스 총재가 관련 발언을 할 경우, 파월 의장의 발언 내용과 비교해서도 얼마나 입장이 다를지가 중요한 포인트.
- 시그널랩 리서치
기관 투자자들이 사용 중인 투자 솔루션
[시그널랩] 아침 시황 및 주요 체크 포인트 - 5/9
시황
25.05.09 08:21[시그널랩] 마감 시황 및 주요 경제지표 체크 - 5/8
시황
25.05.08 16:27[시그널랩] 아침 시황 및 주요 체크 포인트 - 5/8
시황
25.05.08 08:09[시그널랩] 마감 시황 및 주요 경제지표 체크 - 5/7
시황
25.05.07 16:14[시그널랩] 아침 시황 및 주요 체크 포인트 - 5/7
시황
25.05.07 08:21[시그널랩] 마감 시황 및 주요 경제지표 체크 - 4/30
시황
25.04.30 16:13[시그널랩] 아침 시황 및 주요 체크 포인트 - 4/30
시황
25.04.30 08:26[시그널랩] 마감 시황 및 주요 경제지표 체크 - 4/29
시황
25.04.29 16:15[시그널랩] 아침 시황 및 주요 체크 포인트 - 4/29
시황
25.04.29 08:26[시그널랩] 마감 시황 - 4/28
시황
25.04.28 16:17[시그널랩] 아침 시황 및 주요 체크 포인트 - 4/28
시황
25.04.28 08:20[시그널랩] 마감 시황 및 주요 경제지표 체크 - 4/25
시황
25.04.25 16:14[시그널랩] 아침 시황 및 주요 체크 포인트 - 4/25
시황
25.04.25 08:20[시그널랩] 마감 시황 및 주요 경제지표 체크 - 4/24
시황
25.04.24 16:14[시그널랩] 아침 시황 및 주요 체크 포인트 - 4/24
시황
25.04.24 08:20[시그널랩] 아침 시황 및 주요 체크 포인트 - 4/1
시황
25.04.01 08:17[시그널랩] 마감 시황 및 주요 경제지표 체크 - 3/31
시황
25.03.31 16:14[시그널랩] 아침 시황 및 주요 체크 포인트 - 3/31
시황
25.03.31 08:26[시그널랩] 마감 시황 및 주요 경제지표 체크 - 3/28
시황
25.03.28 16:15[시그널랩] 아침 시황 및 주요 체크 포인트 - 3/28
시황
25.03.28 08: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