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영역 바로가기

컨텐츠영역 바로가기

네비게이션메뉴영역 바로가기

종목을 찾아볼까요?

시황

3월 13일 시황. CPI 안도에 AI주, 테슬라 급반등

고릴라리서치+
2025-03-13 08:11:14

3월 13일 시황. CPI 안도에 AI주, 테슬라 급반등


◎ 해외 증시

예상 하회한 CPI. AI 관련주 강세에 나스닥 상승

월마트 비롯 비IT주와 애플 등 부진에 다우는 주춤

2월 CPI 예상 하회하며 호재로 작용

헤드라인 전년 2.8%. (예상 2.9%) 전월 0.2% (예상 0.3%)

근원 전년 3.1%. (예상 3.2%) 전월비 0.2%. (예상 0.3%)

근원 전년비는 2021년 4월 이 후 최저 수치

에너지 지수가 전년비 0.2% 하락한 것이 영향.

휘발유 전월 -1.0%, 전년 -3.1%. 연료유 -5.1% 하락

계란값 폭등으로 주목 받은 식품은 0.4%에서 0.2%로

주거비 0.3%로 1월 0.4% 보다 하락. 전체 상승의 절반

우려했던 관세 전쟁 여파 일단 없다는 점에 안도

특히 클리블랜드 연은 추정 3월 CPI는 0.01% 추정

향 후 인플레이션이 지속 안정될 수 있다는 기대감

다만 관세 등 정책 영향 아직 반영 안 되었다는 분석도

모건스탠리. 연준 금리 바로 못 내려. 정책 여파 볼 것

트럼프 발언은 긍, 부정 요인 엇갈렸음

일단 경기 침체는 없을 것이라는 발언은 긍정적

최근 증시 급락 요인이었던 본인 발언 바꾼 것

또 4월 2일 상호 관세 부과 전까지는 유연성 보일 것이라고

반면 관세 부과 이어갈 것이라는 점은 경계 요인

EU는 280억달러, 캐나다는 210억달러 규모 보복 관세 부과

계속 관세 부과와 맞대응이 이어지는 점은 경계 요인

엔비디아 비롯 반도체, 팔란티어, 테슬라 등이 증시 견인

트루이스트. 의료, 필수소비재 벗어나 낙폭주 주목도 높아질 것

BoA. 엔비디아 GTC에서 성장 기대 부각될 것. 목표 200달러

웨드부시, 웰스파고도 각각 하락은 매수 기회라고 분석

마이크론 테크는 업황 회복 기대에 이틀간 10% 급반등

TSMC가 미국 기업에 공동 투자 제안 소식에 인텔 급등

엔비디아, AMD, 브로드컴에 공동 지분 투자 제안

모건스탠리. AI 탑재한 시리 연기로 출하량 전망 하향

관세 이슈도 실적 전망은 낮추는 요인으로 평가

비중 확대 유지하나 목표가 275달러 252달러로 하향

테슬라는 에버코어 목표가 하향 불구 상승

브랜드 이미지 하향. 270달러에서 235달러로

애플은 모건스탠리에서 아이폰 판매 하향 분석에 약세

골드만삭스. 연말 목표치 6,500 → 6,200p 하향

낮춘 GDP 전망, 관세 이슈가 이유라고 설명

올해 수익 전망 9%에서 7%로 하향. 반면 유럽 전망은 상향

HSBC, 최근 하락 얕은 수준의 침체 반영한 수준

S&P500 -9%. 침체 국면 평균 11~12% 하락

바닥에 가까운 하락이 나온 것이라고 주장


◎ 주요 지표

달러인덱스 103.59 (+0.28%)

국제유가 67.7달러 (+2.19%)

변동성지수 24.23 (-9.99%)

10년물 금리 4.31%

MSCI 한국지수 +2.30%

야간선물 +0.50%


◎ 전망과 전략

미국 CPI 지나고 오늘은 우리 증시 만기일

CPI 안도, 미 증시 반도체 강세 등은 긍정적 요인

다만 전일 일부 선반영된 측면도 있음

초반 이 후 오후장 수급 변화 주목해야

지표와 수급 고비 넘어가며 이제 정치 변수 남았음

외부 변수에 의한 변동성 막바지 구간 통과 중인 것

그간 증시는 변동성 요인에 매도로 반응

대체로 어정쩡한 상황에서는 매도 심리 우세

그런데 최근 코스피 6일 연속 양봉 나온 점 주목

시가 보다 높은 종가는 다음날 우려 약해진 것

삼성전자가 120월선에서 거듭 지지된 점도 의미

작년 1월 17일 이 후 흐름과 같기 위해서는 외국인 중요

11 거래일 연속 선물 매도 후 현물 붙으며 급반등

비슷한 흐름 나오려면 강한 외국인 매수 전환 확인되어야

중소형주 가격 조정으로 부담 줄어든 점은 이용 필요

코스닥은 ADR상 과매도 부근

낙폭 컸던 종목들 반등 시도 자주 나올만한 구간

업황 우려 과하게 반영된 종목군

기관 포트 재편 차원에서 기계적 매물 나온 종목들

하락 국면에서 꾸준하게 매수 유입된 종목들 주목

AI+가치분석 기반 투자플랜

5월 9일 시황. 1번 타자 영국. 하루 종일 바쁜 트럼프

시황

25.05.09 07:58

마감 시황. 지수 상승 이유들

시황

25.05.08 15:03

5월 8일 시황. 무난했던 파월 발언. 막판 반도체 상승

시황

25.05.08 07:18

마감 시황. 미중 협상, 환율, 경기 부양

시황

25.05.07 15:34

5월 7일 시황. 오락가락하는 관세 발언. 종목별 변동성

시황

25.05.07 07:42

마감 시황. 뉴스도, 증시도 홀짝 장세

시황

25.05.02 15:05

5월 2일 시황. 다시 돌아온 AI가 끌어 올린 증시

시황

25.05.02 07:42

마감 시황. 지수 하락 요인들 정리.

시황

25.04.30 15:04

4월 30일 시황. 1호 협상 타결 국가 등장 예고에 상승

시황

25.04.30 07:45

마감 시황. 지수 움직인 재료들 정리.

시황

25.04.29 15:13

4월 29일 시황. 빅테크 실적, 주요 지표 앞두고 '눈치'

시황

25.04.29 07:34

마감 시황. 반도체와 바이오 악재들

시황

25.04.28 15:36

4월 28일 시황. 관세 협상, 본격적인 대선 국면 돌입

시황

25.04.28 07:39

마감 시황. 압박에서 협상 국면으로 바뀐 관세

시황

25.04.25 15:34

4월 25일 시황. 연준 '인하'할거야. 트럼프 '협상중'이야

시황

25.04.25 07:45

마감 시황. 트럼프, 실적, 관세 협상. 성장 둔화

시황

25.04.24 15:32

4월 24일 시황. 관세, 파월 우려 완화. 상승폭은 축소

시황

25.04.24 07:45

마감 시황. 하루에 쏟아진 뉴스 세 개

시황

25.04.23 15:06

4월 23일 시황. 오늘은 베센트가 해결사

시황

25.04.23 07:48

마감 시황. 실적, 협상 기다리며 신중 모드 지속

시황

25.04.22 15: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