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사개요]에이비엘바이오는 이중항체 플랫폼 Grabody를 보유한 회사입니다. 항체란 우리 몸이 병원체를 인식하고 제거하기 위해 만드는 단백질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항체는 하나의 표적 (항원)에 달라붙어 그 하원을 제거하게 되죠. 이중항체는 말 그대로 두 개의 항체를 연결하여 서로 다른 두 개의 항원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도록 만든 항체라고 보면 됩니다. 이중항체를 만드는 이유는 몇 가지가 있는데요. 1) 하나의 항체로 항암세포를 찾아가고, 다른 하나는 면역세포를 인식하여 항암세포에 면역세포를 끌고 오는 역할을 하는 것이 있습니다. 2) 하나의 항원에 다른 기전의 항체 두 개를 동시에 사용하여 치료 효과를 높일 수도 있고요. 3) 세포가 특정한 두 항원을 동시에 발현할 때만 항체가 작동되게 설계하여 정상 세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도 있습니다. 에이비엘바이오가 보유한 이중항체 기술은 그랩바디-T와 그랩바디-B 두 가지입니다. [Grabody-T]암세포는 혼자 있는 게 아니라 주변의 혈관, 면역세포, 섬유세포, 영양물질, 산소 등이 뒤엉켜 있는 복잡한 환경에서 자라납니다. 이것을 종양미세환경이라고 하는데요. Grabody-T는 종양 미세환경에서만 면역세포인 T세포를 활성화 시킵니다.이중항체니 두가지 항체가 붙어서 이런 작용을 하는데요. 우선 암세포에서만 발현되는 특정 단백질에 달라붙는 항체가 하나 존재합니다. 종양세포에 붙게 되면 T세포를 활성화시켜야겠죠. 4-1BB는 T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하는데요. Grabody-T에는 4-1BB를 자극하는 항체가 같이 붙어있습니다. 이렇게 이중항체가 작용하여 종양환경에서만 T세포를 활성하게 되면 부작용을 줄일 수 있게 됩니다. 암에서만 작용하니 투약량을 늘리더라도 부작용은 크지 않고 약효는 높일 수 있게 되고요. [Grabody-B]뇌에는 혈액뇌장벽(BBB, Blood-Brain Barrier)이라는 혈관과 뇌 사이의 필터처럼 생긴 장벽이 존재합니다. 뇌는 아주 예민한 기관이라서 아무 물질이나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는 역할을 하는 거죠. 문제는 BBB 때문에 신경퇴행성 질환 등 뇌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 약물 전달도 어렵다는 점입니다. Grabaody-B는 바로 이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를 위한 플랫폼으로, BBB를 효과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Grabody-B에는 IGF1R을 인식할 수 있는 항체가 하나 있습니다. IGF1R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1 수용체)은 BBB를 통과할 수 있는 문지기 역할을 하는 단백질로 Grabody-B의 항체가 IGF1R에 붙어, IGF1R과 함께 BBB 막을 통과하게 됩니다. 이를 수용체 매개 수송이라고 하는데요. 감옥에서 탈옥할 때 수송 차량 밑에 몰래 숨어서 탈출하는 느낌과 비슷하다고 할까요? Grabody-B는 IGF1R과 함께 BBB를 통과하게 되면 다른 하나의 항체가 문제가 되는 항원을 찾아서 제거하게 됩니다. 25.04.08 종가: 51,000원에이비엘바이오는 최근 2가지 이슈가 있었습니다.1. 4월 1일 ABL001 (미국 개발명 토베시미그) 담도암 임상 2/3상 결과 발표에이비엘바이오는 2018년 미국 컴패스테라퓨틱스에 Grabody-T 기반 이중항체 신약 ABL001을 기술이전했습니다. ABL001은 담도암을 타깃으로 하는 신약으로 24년 8월 진행성 담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2/3상 등록을 완료했습니다. 그리고 25년 4월 1일 컴패스테라퓨틱스에서 임상 2/3상에 대한 탑라인 데이터를 발표했습니다. 기존에 치료제로 사용되는 파클리탁셀과 병용요법 및 파클리탁셀 단독 요법과의 비교 임상이었습니다. 데이터에 따르면 병용요법은 완전관해 (Complete Response, CR) 1건을 비롯하여 ORR (Objective Response Rate, 객관적 반응률 = 암이 일정 수준이상 줄어든 경우) 17.1%를 기록했습니다. 파클리탁셀 단독 투여 ORR 5.3%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 효과였습니다. 암이 진행된 상태를 의미하는 질병 진행률 (Progressive Disease, PD)도 병용요법은 16.2%로 파클리탁셀 단독의 42.1% 대비 월등한 성과를 보였습니다. 컴퍼스테라퓨틱스는 25년 4분기 전체 임상 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또한 우수한 탑라인데이터를 기반으로 FDA와도 논의를 진행한다고 합니다. 2. 4월 7일 발표된 영국 GSK 대상의 기술 이전에이비엘바이오는 영국의 대형제약사 GSK와 Grabody-B를 적용한 복수의 신규 타깃 및 후보물질을 개발 및 상업화할 수 있는 독점적 권리 이전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계약금액은 4.1조원, 계약금만 1,480억원에 달하는 대형 계약이었습니다. Grabody-B 관련 기술이전은 3년 만에 두 번째 성과입니다. 여기에 마일스톤이 끝나면 추가로 순매출액에 따른 경상기술료도 수취하게 됩니다. 상업화만 이뤄지면 큰 수익을 낼 수 있는 계약이라는 의미입니다. GSK는 알츠하이머 치료제 라토지네맙 임상 3상을 진행 중인데요. 해당 물질에 Grabody-B를 적용해 신규임상을 진행할 계획인지는 4월 9일 기업설명회에서 얘기가 될 듯합니다. 만약 3상 진행 물질에 Grabody-B가 적용 된다면 상용화 속도가 훨씬 빨라질 수 있습니다. (25.07.17 현재 아직 적용한다는 얘기는 없습니다.)글로벌 뇌투과 플랫폼 기업인 드날리는 2018년 다케다와 2.4억 달러, 사노피와 12.2억 달러, 2020년에는 바이오젠과 16.8억 달러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기술이전 이후 드날리의 시가총액은 90억 달러 이상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현재는 바이오젠, 사노피, 다케다와의 개발이 모두 중단되었음에도 시가총액이 2.5조원으로 에이비엘바이오와 비슷한 수준이고요. 이번 계약을 포함해 에이비엘바이오의 Grabody-B 기술이전 규모는 5.4조원입니다. 드날리의 5.2조원 (심지어 지금은 대부분 개발 중단) 보다도 큰 규모죠. 여기에 Grabody-T 기반의 신약 개발도 진행 중이라는 측면에서 주가의 상승 가능성이 엿보입니다. 어제 상한가에 이어 오늘도 15%가 올랐는데요. 기관은 사모를 중심으로 188억원 순매수를 보였습니다. 이는 3년 내 1위에 해당하는 강한 순매수입니다. 상대 강도도 2위였습니다. 급등했지만 여전히 상승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듯합니다. 바이오 신약 개발 기업들은 관세 관련한 우려도 없으니 더 긍정적으로 볼 수 있을 것 같고요. 추가 기술 이전 기대감, 임상 중인 파이프 라인의 임상 성과 등이 이어지는 상황이라 계속 지켜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25.07.17 종가: 73,000원에이비엘바이오는 24년 7월 전환우선주 5,778,196주를 발행합니다. 운영자금 1,400억원을 조달하기 위함이었습니다. 전환가액은 24,229원입니다. 총 주식수 대비 10.73%니 꽤 큰 규모였습니다. 제3자 배정으로 투자자는 아래 목록과 같습니다. 주가가 하락할 시 전환가격이 조정되는 리픽싱 조항이 있었지만 다행히 주가가 이후 하락하지 않아 전환가액은 24,229원으로 유지되었습니다. 위 표를 보면 보호예수기간이 1년인데요. 1년이 지난 시기에 전환우선주 전량이 보통주로 전환되었습니다. 상장예정일은 7월 28일입니다. 전환우선주가 모두 상장되면 현 주가 기준 시가총액은 4조원이 됩니다. 아래는 전환우선주 전량 전환에 대한 회사와 투자자의 입장 정리문입니다. 당사는 금일 모든 전환우선주(CPS)가 보통주로 전환되며, 2025년 7월 28일(월)에 상장된다는 사실을 공시하였습니다.당사는 CPS 투자자들과의 지속적인 논의를 거쳐, 오버행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보통주로의 100% 일시 전환이 최선의 해결책이라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일부만 전환할 경우, 남아 있는 CPS 수량이 장기간 지속적인 오버행 이슈를 유발해 주가 상승을 제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오버행 이슈는 염려하지 않으셔도 됩니다.아래와 같은 이유로 모든 투자자들은 단기간 내의 매도가 아닌,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투자를 진행할 것이라는 점 알려드립니다.# 투자의 목적이었던 이중항체 ADC의 모멘텀은 시작도 되지 않음- 이중항체 ADC 파이프라인의 개발 계획을 고려하여 장기 보유를 생각한 투자자# 단기부터 중장기까지 지속적으로 포진해 있는 성장 모멘텀- 글로벌에서 주목받는 BBB 셔틀 플랫폼 Grabody-B- 이번 달 발표된 ABL111의 Best/First-in-Class 병용 임상 데이터를 계기로 주목받기 시작할 Grabody-T 플랫폼- 올 연말로 예정된 담도암 치료제로 미국 FDA의 신약 승인을 목표하는 ABL001 임상2/3상의 PFS 및 OS를 포함한 전체 데이터 발표- ABL206 및 ABL209의 연내 IND 신청으로 시작되는 본격적인 이중항체 ADC 개발# 에이비엘바이오 주식을 매도하고 현금을 확보할 유인이 없음- 투자 기간, 성공 확률, 기대 수익 등 모든 면에서 에이비엘바이오가 가장 안정적이고 상승 여력이 많은 투자처- 언제 갑자기 발표될지 모르는 다양한 플랫폼 기반 사업화의 성과보통주로의 100% 일시 전환은 과도한 오버행 우려로 인한 주가 하락을 피하고 싶은 투자자들과 주주가치를 지키고 싶은 당사의 목표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최선의 조치였습니다.추가적으로, 당사는 오버행 이슈로 인한 주가 하락을 새로운 매수 기회로 삼고자 하는 투자 대기자들이 다수 존재하는 만큼, 향후 주가가 빠르게 반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오늘의 공시와 당사의 설명을 통해, 그간의 걱정을 덜고 안심하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개인적으로는 이런 말이 통할까 싶었는데 7월 15일 주가는 10.6% 급등했습니다. 당시 기관은 228억원을 순매수했고요. 제가 코멘트는 못했지만 선별종목으로 담았던 날입니다. 그리고 오늘 기관은 234억원을 순매수하며 주가가 4% 상승했습니다. 이는 3년 내 1위이자, 상대강도 8위에 해당하는 강한 순매수입니다. [주요 일정]1) 사노피에 기술수출한 그랩바디B25년 하반기 임상 1상 데이터 발표가 예상됩니다. 그랩바디B를 적용한 첫 인간 대상 임상 데이터인 만큼 시장에서 주목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2) 25년 4분기 ABL001 임상 결과 발표컴패스테라퓨틱스에 기술이전한 ABL001 임상 2/3상 최종 데이터가 공개됩니다. PFS (무진행 생존기간), OS (치료 시작 후 환자가 생존한 기간), DoR (반등 지속기간) 등의 데이터가 나옵니다. 3) 추가가 BBB셔틀 기술이전 기대감에이비엘바이오의 IGF1R 기반 BBB 셔틀은 경쟁사 TfR (로슈, 드날리, 바이오아틱 등)에 비해 경쟁력이 있습니다. ㄱ)타 조직 대비 높은 뇌 발현율, ㄴ)발현율이 노화의 영향을 받지 않음, ㄷ)빈혈과 독성 가능성 낮음, ㄹ)다중경로로 BBB를 투과하는 특성 때문이죠. 이에 시점은 누구도 장담할 수 없지만 추가 BBB셔틀 (그랩바디B) 기술이전 기대감이 계속 존재합니다.최근 다시 바이오 종목들이 주목 받고 있습니다. 코스닥이 소외되었는데 그 주도주인 바이오가 주목받는 듯합니다. 하반기 이벤트들이 많다보니 눌려있던 자리에서 편하게 수급이 들어오는 것 같은데요. 의약품 관세라는 악재는 일단 넘어갔으니 긍정적으로 지켜보면 좋을 것 같네요.
앱으로 편하게 발견하세요
구글플레이 다운로드 애플스토어 다운로드QR코드 다운로드
[선별종목] 25.07.17 (목) 현대코퍼레이션, 에이비엘바이오, 광주신세계, 일동제약
공지사항)
가치투자클럽에 기고하는 선별종목은 이번 달까지만 제공하고 끝내기로 했습니다. 관심이 있으신 분들은 향후 전자공시생 네이버프리미엄콘텐츠나 전자공시생 블로그를 통한 후원채널에 가입해주시면 됩니다. 관심가져주셔서 감사합니다.
25년 3분기 스터디채널 모집, 흔들림 속에서.. : 네이버블로그
[회사 개요]
현대코퍼레이션은 종합 무역상사업체입니다. 21년 현대종합상사에서 이름이 바뀌었고요. 회사를 이끄는 정몽혁 회장은 정주영 회장의 다섯째 동생인 고 정신영 기자의 아들입니다.
고 정신영 씨는 독일 유학 중 31세의 젊은 나미에 교통사고 사망했는데요. 고 정주영 회장은 서울대를 나온 동생 정신영씨를 아껴 독일 유학까지 권했는데요. 자랑스러워 했던 동생이 사고로 죽자 열흘이나 출근도 못하고 울었다는 일화가 있습니다. 이후 정몽혁 회장은 고 정주영 회장의 집에서 자랐다고 합니다.
최대주주는 상장사인 현대코퍼레이션홀딩스로 지분 21.79%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현대코퍼레이션홀딩스의 최대주주는 정몽혁 회장으로 지분율 23.72%를 보유하고 있고요.
KCC가 현대코퍼레이션홀딩스와, 현대코퍼레이션의 지분을 각각 12%씩 보유 중입니다. 특이한 것은 현대코퍼레이션홀딩스는 KCC가 최대주주 특수관계인을 묶이는데 반해, 현대코퍼레이션은 특수관계인이 아닌 별도의 주주로 존재한다는 점입니다.
현대코퍼레이션은 철강, 자동차, 선박, 건설장비, 화학 및 기타 상품 등의 무역과 유통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25년 1분기 기준 철강이 29.4%, 자동차 22.1%, 석유화학이 34.2%, 에너지상용부품이 7.4%, 기계인프라가 5.8%의 매출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철강은 강판, 강관 등 철강 제품의 수출입을 진행하는 사업입니다. 승용 부문은 완성차 및 KD (완성차를 부품형태로 수출하여 현지에서 조립하는 방식)를 수출하고요.
에너지상용부품은 전력기기, 변압기, 상용차량, 철차 및 방산사업 등을 취급하고 있습니다. 전체 사업부에서 매출 비중은 7.4%지만 영업이익 비중은 28.3%로 상당히 높습니다. 전체 회사 영업이익률은 2% 수준에 불과한데 에너지상용부품 부문 영업이익률은 7.6%로 월등히 높습니다.
석유화학은 석유화학제품 및 벙커링 사업을 담당합니다. 벙커링 사업은 선박에 연료유를 공급하는 사업입니다. 매출액은 34.2%로 비중이 가장 크지만 영업이익률이 0.6% 수준에 불과하여 상대적인 영향력이 큰 사업은 아닙니다.
24.07.29 코멘트, 종가: 22,300원
현대코퍼레이션의 2분기 매출액은 1조 7,289억 원, 영업이익 365억 원으로 각각 컨센서스를 1%, 22% 상회했습니다. 분기기준 사상최대 영업이익입니다. 장마감 후 실적을 발표해 시간외 주가는 +3% 상승했습니다.
21년 2월 자동차부품기업 영산글로벌과 함께 러시아 칼리닌그라드에 HY오토솔루션 합작법인을 설립 (지분율 50%)했고, 22년 10월에는 일본 자동차 트렁크 보드 제조사 스기하라와 함께 인도네시아 브카시에 스기하라 현대 오토모티브 합작법인을 설립 (지분율 50%)했습니다.
둘 다 현대차 현지 공장에 부품을 납품하기 위한 목적입니다. 여기에 올해 자동차 부품 회사를 하나 인수하려고 계획하고 있다고 하고요.
상사 비즈니스가 글로벌 경기 변동에 취약하기 때문에 당연히 실적이 잘 나올 때 실적 대비 평가를 못 받기는 합니다. 거래량도 워낙 부진해서 굳이 이것까지 봐야 하나는 생각이 들긴 하네요.
25.02.25 코멘트, 종가: 24,650원
위 코멘트 이후 실제 주가는 오랜 기간 지지부진했습니다. 그런데 최근 들어 주가 상승흐름이 나오고 있는데요. 특히 2월 13일 이후 주가가 상승세입니다.
2월 13일은 트럼프 대통령이 러시아 푸틴, 우크라이나 젤렌스키 대통령과 각각 통화한 후 종전 협상을 한다고 얘기한 날입니다. 현대코퍼레이션은 우크라이나 재건 관련주로 묶이기에 같이 주가가 오른 것입니다.
현대코퍼레이션 "우크라 재건 우리 손으로" | 현대코퍼레이션
23년 6월 기사를 보면 현대코퍼레이션은 우크라이나 재건 사업 참여를 위해 노력한다고 밝혔습니다. 23년 6월 16일에는 쉬쿠라코프 바실리 우크라이나 인프라부 차관이 직접 현대코퍼레이션을 찾아 남근호 부사장을 만나기도 했습니다.
우크라이나 측은 현대코퍼레이션 범현대가 네트워크를 통해 재건사업에 참여해 달라고 요청한 것인데요. 과거 현대코퍼레이션이 현대로템, 한국수출입은행, 한국무역보험공사와 함께 우크라이나 고속철 사업 수주전에 뛰어든 바도 있었습니다. 전쟁으로 이연 됐던 고속철 사업의 재개 또는 다른 재건사업에서 현대코퍼레이션이 가교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기관은 최근 5일 연속 순매수를 보이고 있습니다. 오늘은 보험을 중심으로 12억원 순매수가 들어왔고요. 이는 1년 내 1위, 3년 내 3위에 해당하는 강한 순매수입니다.
어제 포스코인터내셔널과 같이 상사업에 속하기에 워렌버핏의 일본 상사주 확대에 따른 업황 호조 기대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25년 기준 PER은 3.1배, PBR은 0.4배에 불과하기에 저평가 매력도 있습니다.
25.07.17 (목) 종가 27,700원
현대코퍼레이션의 주가도 우상향 흐름을 보이기는 했지만 다른 기업들에 비하면 주가 상승폭이 크지는 않았습니다. 52주 저가 대비 주가 상승폭은 56% 수준에 불과하고요.
오늘은 현대코퍼레이션이 자동차 부품회사인 시그마를 인수한다는 공시가 있었습니다. 지난 25년 4월 4일 인수를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고 공시가 나왔는데 인수까지 이어졌습니다.
현대코퍼레이션은 시그마의 지분 116,447주 77.6%를 523억원에 취득하기로 했습니다. 전체 회사 가치는 674억원으로 평가한 것입니다. 24년 당기순이익이 101억원이니 PER 6.7배 수준입니다. 지난해 자동차 부품회사 인수를 추진한다고 했는데 이 건인가 싶습니다.
시그마는 2007년 설립된 자동차 부품회사로 차량용 실내조명 및 인테리어 부품을 제조합니다. 국내 완성차에 엠비언트 라이트 (무드 조명)를 최초로 공급하여 이 분야 시장 점유율이 과반을 넘는다고 합니다.
러시아 HY오토솔루션 JV, 인도네시아 스기하라 현대 오토모티브 JV에 이어 자동차 부품 회사 인수까지 나서면서 상사업에서 제조업으로의 확장을 적극적으로 도모하는 모습입니다.
에너지사용부품의 실적이 성장하면서 실적을 견인하고 있는 가운데 자동차 사업까지 더해지면서 실적은 지속적인 성장이 기대됩니다. 애널리스트들의 추정치도 상향될 것이고요.
회사의 PBR은 0.5배 수준으로 여전히 낮습니다. 자사주가 9.21%로 있는데 이에 대한 소각을 비롯하여 주주환원 정책들이 나오면 회사 주가는 상승할 여지가 있다는 생각이 듭니다.
에이비엘바이오는 이중항체 플랫폼 Grabody를 보유한 회사입니다. 항체란 우리 몸이 병원체를 인식하고 제거하기 위해 만드는 단백질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 항체는 하나의 표적 (항원)에 달라붙어 그 하원을 제거하게 되죠.
이중항체는 말 그대로 두 개의 항체를 연결하여 서로 다른 두 개의 항원을 동시에 인식할 수 있도록 만든 항체라고 보면 됩니다.
이중항체를 만드는 이유는 몇 가지가 있는데요.
1) 하나의 항체로 항암세포를 찾아가고, 다른 하나는 면역세포를 인식하여 항암세포에 면역세포를 끌고 오는 역할을 하는 것이 있습니다.
2) 하나의 항원에 다른 기전의 항체 두 개를 동시에 사용하여 치료 효과를 높일 수도 있고요.
3) 세포가 특정한 두 항원을 동시에 발현할 때만 항체가 작동되게 설계하여 정상 세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도 있습니다.
에이비엘바이오가 보유한 이중항체 기술은 그랩바디-T와 그랩바디-B 두 가지입니다.
[Grabody-T]
암세포는 혼자 있는 게 아니라 주변의 혈관, 면역세포, 섬유세포, 영양물질, 산소 등이 뒤엉켜 있는 복잡한 환경에서 자라납니다. 이것을 종양미세환경이라고 하는데요. Grabody-T는 종양 미세환경에서만 면역세포인 T세포를 활성화 시킵니다.
이중항체니 두가지 항체가 붙어서 이런 작용을 하는데요. 우선 암세포에서만 발현되는 특정 단백질에 달라붙는 항체가 하나 존재합니다.
종양세포에 붙게 되면 T세포를 활성화시켜야겠죠. 4-1BB는 T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역할을 하는데요. Grabody-T에는 4-1BB를 자극하는 항체가 같이 붙어있습니다.
이렇게 이중항체가 작용하여 종양환경에서만 T세포를 활성하게 되면 부작용을 줄일 수 있게 됩니다. 암에서만 작용하니 투약량을 늘리더라도 부작용은 크지 않고 약효는 높일 수 있게 되고요.
[Grabody-B]
뇌에는 혈액뇌장벽(BBB, Blood-Brain Barrier)이라는 혈관과 뇌 사이의 필터처럼 생긴 장벽이 존재합니다. 뇌는 아주 예민한 기관이라서 아무 물질이나 들어오지 못하도록 막는 역할을 하는 거죠.
문제는 BBB 때문에 신경퇴행성 질환 등 뇌 관련 질환을 치료하는 약물 전달도 어렵다는 점입니다. Grabaody-B는 바로 이 신경퇴행성 질환 치료를 위한 플랫폼으로, BBB를 효과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습니다.
Grabody-B에는 IGF1R을 인식할 수 있는 항체가 하나 있습니다. IGF1R (인슐린 유사 성장인자1 수용체)은 BBB를 통과할 수 있는 문지기 역할을 하는 단백질로 Grabody-B의 항체가 IGF1R에 붙어, IGF1R과 함께 BBB 막을 통과하게 됩니다.
이를 수용체 매개 수송이라고 하는데요. 감옥에서 탈옥할 때 수송 차량 밑에 몰래 숨어서 탈출하는 느낌과 비슷하다고 할까요?
Grabody-B는 IGF1R과 함께 BBB를 통과하게 되면 다른 하나의 항체가 문제가 되는 항원을 찾아서 제거하게 됩니다.
25.04.08 종가: 51,000원
에이비엘바이오는 최근 2가지 이슈가 있었습니다.
1. 4월 1일 ABL001 (미국 개발명 토베시미그) 담도암 임상 2/3상 결과 발표
에이비엘바이오는 2018년 미국 컴패스테라퓨틱스에 Grabody-T 기반 이중항체 신약 ABL001을 기술이전했습니다. ABL001은 담도암을 타깃으로 하는 신약으로 24년 8월 진행성 담도암 환자를 대상으로 한 임상 2/3상 등록을 완료했습니다.
그리고 25년 4월 1일 컴패스테라퓨틱스에서 임상 2/3상에 대한 탑라인 데이터를 발표했습니다. 기존에 치료제로 사용되는 파클리탁셀과 병용요법 및 파클리탁셀 단독 요법과의 비교 임상이었습니다.
데이터에 따르면 병용요법은 완전관해 (Complete Response, CR) 1건을 비롯하여 ORR (Objective Response Rate, 객관적 반응률 = 암이 일정 수준이상 줄어든 경우) 17.1%를 기록했습니다. 파클리탁셀 단독 투여 ORR 5.3%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개선 효과였습니다.
암이 진행된 상태를 의미하는 질병 진행률 (Progressive Disease, PD)도 병용요법은 16.2%로 파클리탁셀 단독의 42.1% 대비 월등한 성과를 보였습니다.
컴퍼스테라퓨틱스는 25년 4분기 전체 임상 결과를 발표할 예정입니다. 또한 우수한 탑라인데이터를 기반으로 FDA와도 논의를 진행한다고 합니다.
2. 4월 7일 발표된 영국 GSK 대상의 기술 이전
에이비엘바이오는 영국의 대형제약사 GSK와 Grabody-B를 적용한 복수의 신규 타깃 및 후보물질을 개발 및 상업화할 수 있는 독점적 권리 이전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계약금액은 4.1조원, 계약금만 1,480억원에 달하는 대형 계약이었습니다. Grabody-B 관련 기술이전은 3년 만에 두 번째 성과입니다.
여기에 마일스톤이 끝나면 추가로 순매출액에 따른 경상기술료도 수취하게 됩니다. 상업화만 이뤄지면 큰 수익을 낼 수 있는 계약이라는 의미입니다.
GSK는 알츠하이머 치료제 라토지네맙 임상 3상을 진행 중인데요. 해당 물질에 Grabody-B를 적용해 신규임상을 진행할 계획인지는 4월 9일 기업설명회에서 얘기가 될 듯합니다.
만약 3상 진행 물질에 Grabody-B가 적용 된다면 상용화 속도가 훨씬 빨라질 수 있습니다. (25.07.17 현재 아직 적용한다는 얘기는 없습니다.)
글로벌 뇌투과 플랫폼 기업인 드날리는 2018년 다케다와 2.4억 달러, 사노피와 12.2억 달러, 2020년에는 바이오젠과 16.8억 달러 규모의 기술이전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기술이전 이후 드날리의 시가총액은 90억 달러 이상을 기록하기도 했습니다. 현재는 바이오젠, 사노피, 다케다와의 개발이 모두 중단되었음에도 시가총액이 2.5조원으로 에이비엘바이오와 비슷한 수준이고요.
이번 계약을 포함해 에이비엘바이오의 Grabody-B 기술이전 규모는 5.4조원입니다. 드날리의 5.2조원 (심지어 지금은 대부분 개발 중단) 보다도 큰 규모죠. 여기에 Grabody-T 기반의 신약 개발도 진행 중이라는 측면에서 주가의 상승 가능성이 엿보입니다.
어제 상한가에 이어 오늘도 15%가 올랐는데요. 기관은 사모를 중심으로 188억원 순매수를 보였습니다. 이는 3년 내 1위에 해당하는 강한 순매수입니다. 상대 강도도 2위였습니다. 급등했지만 여전히 상승 가능성이 높다고 보는 듯합니다.
바이오 신약 개발 기업들은 관세 관련한 우려도 없으니 더 긍정적으로 볼 수 있을 것 같고요. 추가 기술 이전 기대감, 임상 중인 파이프 라인의 임상 성과 등이 이어지는 상황이라 계속 지켜볼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25.07.17 종가: 73,000원
에이비엘바이오는 24년 7월 전환우선주 5,778,196주를 발행합니다. 운영자금 1,400억원을 조달하기 위함이었습니다. 전환가액은 24,229원입니다. 총 주식수 대비 10.73%니 꽤 큰 규모였습니다. 제3자 배정으로 투자자는 아래 목록과 같습니다.
주가가 하락할 시 전환가격이 조정되는 리픽싱 조항이 있었지만 다행히 주가가 이후 하락하지 않아 전환가액은 24,229원으로 유지되었습니다.
위 표를 보면 보호예수기간이 1년인데요. 1년이 지난 시기에 전환우선주 전량이 보통주로 전환되었습니다. 상장예정일은 7월 28일입니다. 전환우선주가 모두 상장되면 현 주가 기준 시가총액은 4조원이 됩니다.
아래는 전환우선주 전량 전환에 대한 회사와 투자자의 입장 정리문입니다.
당사는 금일 모든 전환우선주(CPS)가 보통주로 전환되며, 2025년 7월 28일(월)에 상장된다는 사실을 공시하였습니다.
당사는 CPS 투자자들과의 지속적인 논의를 거쳐, 오버행 우려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보통주로의 100% 일시 전환이 최선의 해결책이라는 결론에 도달했습니다.
일부만 전환할 경우, 남아 있는 CPS 수량이 장기간 지속적인 오버행 이슈를 유발해 주가 상승을 제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오버행 이슈는 염려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아래와 같은 이유로 모든 투자자들은 단기간 내의 매도가 아닌,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투자를 진행할 것이라는 점 알려드립니다.
# 투자의 목적이었던 이중항체 ADC의 모멘텀은 시작도 되지 않음
- 이중항체 ADC 파이프라인의 개발 계획을 고려하여 장기 보유를 생각한 투자자
# 단기부터 중장기까지 지속적으로 포진해 있는 성장 모멘텀
- 글로벌에서 주목받는 BBB 셔틀 플랫폼 Grabody-B
- 이번 달 발표된 ABL111의 Best/First-in-Class 병용 임상 데이터를 계기로 주목받기 시작할 Grabody-T 플랫폼
- 올 연말로 예정된 담도암 치료제로 미국 FDA의 신약 승인을 목표하는 ABL001 임상2/3상의 PFS 및 OS를 포함한 전체 데이터 발표
- ABL206 및 ABL209의 연내 IND 신청으로 시작되는 본격적인 이중항체 ADC 개발
# 에이비엘바이오 주식을 매도하고 현금을 확보할 유인이 없음
- 투자 기간, 성공 확률, 기대 수익 등 모든 면에서 에이비엘바이오가 가장 안정적이고 상승 여력이 많은 투자처
- 언제 갑자기 발표될지 모르는 다양한 플랫폼 기반 사업화의 성과
보통주로의 100% 일시 전환은 과도한 오버행 우려로 인한 주가 하락을 피하고 싶은 투자자들과 주주가치를 지키고 싶은 당사의 목표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최선의 조치였습니다.
추가적으로, 당사는 오버행 이슈로 인한 주가 하락을 새로운 매수 기회로 삼고자 하는 투자 대기자들이 다수 존재하는 만큼, 향후 주가가 빠르게 반등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오늘의 공시와 당사의 설명을 통해, 그간의 걱정을 덜고 안심하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개인적으로는 이런 말이 통할까 싶었는데 7월 15일 주가는 10.6% 급등했습니다. 당시 기관은 228억원을 순매수했고요. 제가 코멘트는 못했지만 선별종목으로 담았던 날입니다.
그리고 오늘 기관은 234억원을 순매수하며 주가가 4% 상승했습니다. 이는 3년 내 1위이자, 상대강도 8위에 해당하는 강한 순매수입니다.
[주요 일정]
1) 사노피에 기술수출한 그랩바디B
25년 하반기 임상 1상 데이터 발표가 예상됩니다. 그랩바디B를 적용한 첫 인간 대상 임상 데이터인 만큼 시장에서 주목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2) 25년 4분기 ABL001 임상 결과 발표
컴패스테라퓨틱스에 기술이전한 ABL001 임상 2/3상 최종 데이터가 공개됩니다. PFS (무진행 생존기간), OS (치료 시작 후 환자가 생존한 기간), DoR (반등 지속기간) 등의 데이터가 나옵니다.
3) 추가가 BBB셔틀 기술이전 기대감
에이비엘바이오의 IGF1R 기반 BBB 셔틀은 경쟁사 TfR (로슈, 드날리, 바이오아틱 등)에 비해 경쟁력이 있습니다. ㄱ)타 조직 대비 높은 뇌 발현율, ㄴ)발현율이 노화의 영향을 받지 않음, ㄷ)빈혈과 독성 가능성 낮음, ㄹ)다중경로로 BBB를 투과하는 특성 때문이죠. 이에 시점은 누구도 장담할 수 없지만 추가 BBB셔틀 (그랩바디B) 기술이전 기대감이 계속 존재합니다.
최근 다시 바이오 종목들이 주목 받고 있습니다. 코스닥이 소외되었는데 그 주도주인 바이오가 주목받는 듯합니다. 하반기 이벤트들이 많다보니 눌려있던 자리에서 편하게 수급이 들어오는 것 같은데요.
의약품 관세라는 악재는 일단 넘어갔으니 긍정적으로 지켜보면 좋을 것 같네요.
광주 신세계는 이름처럼 광주의 신세계 백화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24년 7월 1일부로 금호고속으로부터 광주종합버스터미 사업을 영업양수하여 부동산 및 여객터미널 사업도 함께 영위하고 있고요.
25년 1분기 기준 매출 비중은 백화점 상품매출이 68%, 임대료 수입 등 기타매출이 24%로 전체의 92%를 차지합니다. 터미널사업이 8% 비중이고요.
최대주주는 신세계로 지분 62.84%를 보유 중입니다. 과거 IMF 시기 광주신세계의 경영이 어려워졌을 때 신세계가 유상증자를 포기하고 정용진 부회장이 유상증자에 참여하면서 지분 52%를 보유한 최대주주가 되기도 했었는데요. 지금은 정용진 부회장이 지분을 신세계로 넘기면서 지배구조가 단순화되었습니다.
24.02.28 종가: 30,400원
광주 신세계백화점은 서울 고속터미널처럼 광주의 고속버스터미널 옆에 붙어있습니다. 그런데 24년 2월 28일 광주신세계가 금호고속으로부터 유스퀘어 토지와 건물 및 터미널 사업권을 4,700억원 양수한다고 발표했습니다. 다만 그동안 금호고속으로부터 임대해서 사용하던 백화점 동은 매입에서 제외됐다고 하고요.
광주신세계는 올해 안에 인허가를 진행하여 내년에 착공하면 28년에 새로운 백화점 광주신세계 아트 앤 컬쳐파크를 오픈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총 영업면적은 3만평으로 기존 광주신세계백화점의 3배 규모라고 합니다. 입점 브랜드도 530여개에서 1천여개로 늘릴 계획이라고 하고요.
일단 67%의 대지권을 확보해서 사업을 추진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하고요. 남은 부지는 매각 대금에 대한 이견이 있어서 지연되고 있지만 모두 확보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아트 앤 컬쳐파크 조감도
강남 고속터미널과 연계한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을 성공시킨 바 있는 신세계이기에 광주신세계 아트 앤 컬쳐파크에도 노하우를 적용하여 성공으로 이끌 수 있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광주신세계백화점의 23년 연간 매출액은 8,233억원으로 전국 백화점 매출 12위, 광주 내 백화점 점유율은 50%가 조금 안 되는 수준이었는데요. 이번 백화점 리뉴얼을 통해 연매출 1조원 이상으로 거듭나리라 봅니다.
광주신세계는 직접 상품을 판매하는 상품 매출과 매장을 임대해주고 받는 임대수수료로 매출이 계상되기에 총매출과 공시되는 매출은 차이가 있습니다.
쌓아두고 있는 현금성 자산을 활용하여 사업을 확장하는 만큼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 같습니다. 배당수익률도 7%에 달하고 PBR은 0.3배에 불과합니다. PER도 5배 수준이고요. 늘 저평가 되던 회사기는 하지만 부동산을 개발하고 사업이 확장되는 것은 호재로 볼 수 있지 않나 싶습니다.
25.07.17 종가: 34,850원
광주신세계는 백화점 사업을 영위하는 기업으로서 정부의 내수 부양책의 수혜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물론 소비쿠폰의 사용처는 아니지만 내수 경기가 활성화되는 것 자체로 플러스 요인이 될 수 있다고 봅니다.
광주신세계는 그간 실적이 좋지 못했습니다. 23, 24년 연속 영업이익이 역성장했고요. 25년 1분기도 매출액은 3.0% 증가했지만 영업이익은 -1.6%가 감소했습니다. 이에 주가도 크게 움직이지 못했던 것 같고요.
24년 12월 주주환원정책을 발표하는데요.
1) 향후 3년간 기보유 자사주 330,018주 (4.15%) 전량 소각
2) 최소 주당 배당금 2,000원 (현재가 기준 5.7% 수익률), 배당성향 30% 이상
실제 24년 배당금은 2,200원으로 배당성향은 36.34%였습니다. 저 PBR 기업의 주주환원과 내수 활성화 여기에 중국인 관광객 유입에 대한 기대감이 더해지면서 최근 주가 상승이 나온 게 아닌가 싶습니다.
28년 백화점 신축을 통한 실적 성장 + 부동산 개발 사업도 더해지기에 실적은 좋아질 수 있긴 한데 거래량이 워낙 적어서 늘 애매한 느낌입니다.
25.07.17 종가: 22,800원
일동제약은 7월 초부터 주가 급등 랠리를 보이고 있습니다. 7월 7일 한양증권 오병용 위원의 보고서가 트리거가 된 것 같습니다. 당일 25%가 상승했고 이후에도 주가는 급등 흐름입니다.
핵심내용은 경구용 GLP-1 치료제에 대한 기대감입니다. 전세계적으로 경구용 비만치료제에 대한 관심이 큽니다. 아무래도 주사제는 부담스러우니까요.
일라이릴리 (오포글리프론), 노보노디스크 (리벨서스) 등 글로벌 비만치료제 선두주자들도 경구용 비만치료제를 적극 개발하고 있습니다. 디앤디파마텍도 경구용 플랫폼을 멧세라에 기술이전 하였고, 구글이 이 멧세라의 지분을 취득하면서 시장의 관심이 커지기도 했죠.
일동제약이 의외로 국내에서 경구용 비만치료제 개발 속도가 가장 빠르다고 합니다. 지난 25년 6월 ADA 학회에서 ‘ID110521156’의 임상 1상 중간결과(저~중용량군)를 발표했습니다.
[임상 내용]
1상 PartB 다회증량시험
대상: BMI 27kg/㎡이상인 성인 36명
시험: 3개 용량군 (50mg군, 100mg군, 200mg군)에 각각 12명씩 배정
위약: 각각 용량군에 2명씩
방법: 총 28일 (4주) 간 하루 1회 경구 투여
[임상 결과]
저용량군 (50mg): 평균 5.5% 체중 감소
중용량군 (100mg): 평균 6.9% 체중 감소
참고) ‘오포글리프론’ 임상1상 파트B에서 4주차에 12~24mg 체중이 5.7~6.4% 감소
‘ID110521156’의 체중감량 효과가 있다?
대용량 데이터와 1상 톱라인 데이터는 8월말 공개 예정
더 중요한 것은 체중감량 효과에도 일동제약의 신약 후보물질은 위장관계 부작용으로 인한 중단 사례나 간독성 보고사례가 없었다는 점입니다.
현재 경구용 GLP-1 치료제는 100% 자회사인 유노비아에서 개발 중입니다. 유노비아는 23년 신약 연구개발 사업을 별도 법인으로 만든 회사입니다. 막대한 연구 개발의 부담 때문에 실적이 망가지자 별도 법인으로 둔 듯합니다. 향후 투자를 받기에도 더 유리하고요.
일동제약은 21년~23년까지 막대한 적자를 기록했습니다. R&D 비용 때문이었습니다. 대규모 투자의 결과가 이제 나오기 시작하는 것이라면 관심을 둘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오늘 기관은 연기금을 중심으로 27억원을 순매수했습니다. 2년 내 2위입니다. 외국인은 62억원 순매수로 2년 내 1위를 기록했고요.
DB일동베스트 사모펀드가 7월 7일 이후 지속적으로 장내매도를 하고 있지만 주가는 크게 영향을 받지 않고 오르고 있습니다. 사모펀드는 7월 15일까지 52만주 가량을 순매도했습니다. 금액으로는 100억원 정도입니다.
오늘 주가가 급등하면서 추가로 24만주 54억원 가량을 순매도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보통주는 이제 16만주 정도가 남게 됩니다. 여기에 전환사채권 125만주가 추가로 있습니다. 전환가격은 16,000원이고 올해 말까지가 전환권 행사기간이기에 조만간 다 출회되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오버행 물량이 나오면서 매수의 기회는 줄 수도 있을 것 같은데요. 개별적으로 더 공부해 보시면 좋을 것 같네요.
유료구독자 전용 컨텐츠 입니다.
50,000원 / 월
가치투자클럽 구독으로
더 많은 콘텐츠를 만나보세요!
여의도에서 가장 신뢰하는 1등 채널의 킬러 콘텐츠
[선별종목] 25.07.17 (목) 현대코퍼레이션, 에이비엘바이오, 광주신세계, 일동제약
칼럼
25.07.17 23:39[선별종목] 25.07.16 (수) 마이크로컨텍솔, LF, 대덕전자, 덕산네오룩스
칼럼
25.07.16 23:23[선별종목] 25.07.15 (화) 스맥, 쿠쿠홈시스, 에이비엘바이오
칼럼
25.07.15 22:40[선별종목] 25.07.14 (월) 대한항공, 현대홈쇼핑, 현대차, 증권주
칼럼
25.07.14 23:14[선별종목] 25.07.11 (금) 이녹스첨단소재, KCC, 삼성에스디에스, 현대제철
칼럼
25.07.13 17:00[선별종목] 25.07.10 (목) KCC, 리가켐바이오, 오리온홀딩스
칼럼
25.07.10 22:50[선별종목] 25.07.08 (화) YG PLUS, 형지엘리트
칼럼
25.07.08 23:36[선별종목] 25.07.07 (월) 한한령 해제 수혜주
칼럼
25.07.07 21:56[선별종목] 25.07.04 (금) 글로벌텍스프리, 미투온, 태광산업, 셀트리온
칼럼
25.07.06 19:40[선별종목] 25.07.03 (목) 아이스크림미디어, 리가켐바이오
칼럼
25.07.03 23:17[선별종목] 25.07.02 (수) 바이오, 휠라홀딩스, 에스앤에스텍
칼럼
25.07.02 20:55[선별종목] 25.07.01 (화) HD현대건설기계, HD현대인프라코어, 태광산업, 지주사
칼럼
25.07.01 23:14[선별종목] 25.06.26 (목) 해성디에스, 코오롱
칼럼
25.06.26 23:14[선별종목] 25.06.25 (수) 전진건설로봇, 현대건설, 세아베스틸지주, 코오롱인더
칼럼
25.06.25 23:01[선별종목] 25.06.24 (화) 스테이블코인
칼럼
25.06.24 22:31[선별종목] 25.06.23 (월) 리파인, 미래에셋증권, 우진
칼럼
25.06.23 22:58[선별종목] 25.06.23 (월) 리파인, 미래에셋증권, 우진
칼럼
25.06.23 22:58[선별종목] 25.06.19 (목) 롯데이노베이트, 삼성에스디에스
칼럼
25.06.19 23:19[선별종목] 25.06.18 (수) AI (NAVER, 현대오토에버, 셀바스AI, 더존비즈온, 플리토, 카카오, 한글과컴퓨터)
칼럼
25.06.18 22:49[선별종목] 25.06.16 (월) 엘앤에프 (BW발행), 현대엘리베이터, 스테이블코인
칼럼
25.06.16 2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