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영역 바로가기

컨텐츠영역 바로가기

네비게이션메뉴영역 바로가기

종목을 찾아볼까요?

시황

4월 4일 시황. 코로나 때만큼 폭락한 미 증시

고릴라리서치+
2025-04-04 07:30:49

4월 4일 시황. 코로나 때만큼 폭락한 미 증시


◎ 해외 증시

관세 발표로 경기 침체 위험 커졌다는 분석에 급락

다우 22년 9월, S&P500 20년 6월 이 후 최대폭 하락

특히 나스닥은 20년 3월 즉, 코로나 때 이 후 최대폭

이 날 하루 감소한 시가총액은 약 2조달러 수준

직전까지 올해 -1.75조달러 감소. 오늘 하루 그 이상

메가7 시총 감소폭만 -9000억달러 이상

국제유가 등 원자재는 물론 금 가격까지도 하락

안전 자산 선호에 국채 금리 하락, 엔화 강세

CNBC, 분석가들 대부분 20% 관세를 상단으로 예상

협상 통해 낮아지는 것 전망했으나 출발선이 높았음

JP모건. 협상 통해 관세율 낮아지지 않으면 침체 예상

도이치. 관세율 예상 상회. 침체 우려 확실히 증가 시켜

씨티. 불확실성 이제 시작. 현금있어도 매수 쉽지 않아

피치. 115년만에 최대 관세. 미국 기업 잃을 것 많아

일주일 전 2회였던 금리 인하 전망은 4회까지

그만큼 경기 침체 우려가 강해졌다는 의미

트럼프는 주식 시장 결국을 호황을 누릴 것이라고 주장

현재 정책 물러설 생각이 없다는 의미로 해석

해외 공급망 있는 모든 종목들 낙폭이 컸음

나이키, 애플, 마이크론 등 -10% 이상 하락

애플 시총 -3,100억달러 이상 줄어 20년 3월 이 후 최대

아이폰 85%가 중국에서 생산. 중국 관세율 54%

나이키, 언더아머 등도 아시아 생산 비중이 높음

나이키는 중국 11%, 베트남 44%에서 제품 공급. 

EU. 협상 실패 대비 기업 이익 보호 위한 대응책 준비

중국. 확고히 반대하며 적극적으로 대응할 것

독일. 마치 우크라이나 침략한 것 같아. 대응해야

번스타인. 자동차 관세 충격 더 이어질 것

부품사 무너지며 공급 체인 문제 발생 가능성 주의

Boa. 작년 신차 1,600만대. 관세로 250 ~ 300만대 영향

웨드부시. 애플 이번에도 관세 면제 대상 가능성

CFRA. 강력한 브랜드 가치로 가격 전가 가능할 것

HSBC. 엔비디아 보유로 하향. 목표가 175 → 120달러

주력 제품 평균 판매가 정체. 가격 결정력 약화 의미

씨티. 마이크론, 브로드컴 등 관세에 취약, -20% 가능성도

공급 체인 등 문제. 해소시 코로나 때 같은 급반등 가능 

UBS. 필립모리스 등 담배 업체들 관세 국면에 유리 

ISM서비스업지수 50.8. 예상 52.9 하회

주간 신규실업수당 21.9만. 예상 22.5만 하회

2월 무역수지 적자 1,227억달러, 예상 거의 부합


◎ 주요 지표

달러인덱스 102.06 (-1.68%)

국제유가 66.61달러 (-7.11%)

변동성지수 30.02 (+39.56%)

10년물 금리 4.03%

MSCI 한국지수 -2.73%

야간선물 -1.41%


◎ 전망과 전략

관세 부담 커져 증시 변동성 당분간 이어질 전망

특히 수출 비중 높은 우리 증시 구조상 부담

협상 과정이 이어지면서 기대감, 우려 반복 예상

다만 재료상 정점은 지나가고 있는 것으로 판단

오늘 이 후 우리 증시는 변화가 예상되는 상황

가장 큰 변수인 헌법재판소 판결

긍정적 시나리오는 사회적 큰 충돌없는 상황

이 경우 정치 불확실성 해소로 일부 상승 동력

특히 우리나라도 부양 기대감이 작용될 수 있음

1분기 강세 보였던 독일과 중국은 모두 부양 기대

미국 둔화 우려 대비 기대감 높아 매수 유입된 것

우리 역시 비슷하게 흐름이 나올 가능성도 있음

물론 사회적 혼란 깊어 질 경우도 있어 상황 봐야

외국인 매도는 공매도가 한 사이클 진행되는 듯

매도 시작 시점과 공매도 재개 시점 일치

지속성 보다는 공매도 재개 + 일정 여파로 판단

국내 일정 소화되며 다시 매수 유입 기대

주요 재료 지나가는 구간으로 종목에 집중할 때

최근 기관 매수 유입된 종목들 지속 관심

AI+가치분석 기반 투자플랜

마감 시황. 관세와 헌재 이벤트 정점 통과

시황

25.04.04 15:09

4월 4일 시황. 코로나 때만큼 폭락한 미 증시

시황

25.04.04 07:30

마감시황. 변동 마무리국면 진입

시황

25.04.03 15:34

4월 3일 시황. 트럼프 관세 공개 후 시간 외 약세

시황

25.04.03 07:48

마감 시황. 관세 + 한국만 예정되어 있는 큰 이벤트

시황

25.04.02 15:04

4월 2일 시황. 빅테크 상승과 협상 기대에 나스닥↑

시황

25.04.02 08:27

마감 시황. 정치 불확실성 해소 기대 + 관세 우려 주춤

시황

25.04.01 15:22

4월 1일 시황. 관세 공포 VS 어차피 협상

시황

25.04.01 07:07

마감 시황. 매달 두 번씩 나오는 관세 이벤트

시황

25.03.31 14:58

3월 31일 시황. 온갖 재료 다 몰린 4월 초

시황

25.03.31 06:22

3월 28일 시황. 관세 걱정과 의심이 겹친 투자자들

시황

25.03.28 08:30

마감 시황. 관세, 경기 우려, 신용 물량 걱정 겹치며

시황

25.03.27 15:20

3월 27일 시황. 관세, 증시 전망, 연준 인사 발언 겹치며

시황

25.03.27 08:18

3월 26일 시황. 관세 리스크 완화. 경기 걱정은 여전

시황

25.03.26 08:26

마감 시황. 관세, 정치, 미국 유턴까지 챙긴 증시

시황

25.03.25 15:26

3월 25일 시황. '유연해진' 트럼프 관세 효과에 급등

시황

25.03.25 08:17

마감 시황. 큰 이벤트 앞두고 몸사린 투자자들

시황

25.03.24 15:08

3월 24일 시황. 관세, 공매도, 헌재 등 슈퍼 위크

시황

25.03.24 08:49

3월 21일 시황. 재해석된 FOMC. 마이크론 실적은 양호

시황

25.03.21 08:06

3월 20일 시황. 침체 우려 완화시켜준 파월

시황

25.03.20 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