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영역 바로가기

컨텐츠영역 바로가기

네비게이션메뉴영역 바로가기

종목을 찾아볼까요?

시황

2월 4일 시황. 트럼프 '관세 놀이'에 변동성 보인 하루

고릴라리서치+
2025-02-04 08:29:38

2월 4일 시황. 트럼프 '관세 놀이'에 변동성 보인 하루


◎ 해외 증시

하락하던 증시 멕시코 관세 한달 유예로 낙폭 축소

장초반은 캐나다, 멕시코, 중국 관세 부과에 급락 출발

본격적인 관세 전쟁에 경제 타격 우려 제기

장중 트럼프, 멕시코에 대한 25% 관세 한달 유예한다고

멕시코 측이 펜타닐, 불법 이민 차단 위해 국경 강화 합의

이 기간 국무부, 재무부, 상무부 장관등이 협상한다고

캐나다에 대해서는 좋은 대화 중이라고 언급

미국 시간 오후 3시 통화 재개할 것이라고

중국과는 24시간 이내 대화할 것. 합의 못하면 관세 추가

펜타닐, 파나마 운하 운영 문제 등이 주된 협상 사안

파나마 운하의 경우 현재 홍콩계 업체가 운영중임

트럼프 입장에서도 증시, 경제 타격 의식한 것으로 보임

월가 주요 분석가들 관세 전쟁시 경제 타격 경고

RBC. 5~10% 범위까지 하락할 가능성도 있어

주식 밸류에이션 높은 시점에 관세 이슈 부담

골드만삭스. 관세율 5% 당 S&P500 EPS 1~2% 감소

캐, 멕 25% 부과 지속되면 PCE +0.7%, GDP -0.4%

단, 캐나다, 멕시코 관세 일시적일 가능성에 무게

도이치뱅크, 관세 전쟁 세계뿐 아니라 미국 인플레도 자극

수 개월간 미국 무역 비중 높은 나라들 리스크 반영 예상

멕시코 관세 유예 후 언론, 분석가들 예상했다는 평가

UBS, 트럼프는 경제나 기업 실적에 타격 가할 조치 안할 것

트루이스트, 관세 부과되어도 오래 지속될지 의문

WSJ. 강한 관세 정책 실제 시행될지 의심 유발

CNN. 트럼프 정책이 허풍이었다고 생각. 결국 그럴 듯

로이터. 주요 분석가들 관세 결국 협상으로 해결 예측

AP. 대대적인 무역전쟁 불확실성 여전히 남아

로이터, 헤지펀드들 지난주 글로벌 주식 대거 처분

대부분 업종 매도. 유일하게 상승 베팅한 것은 부동산주

톰리. 관세 영향으로 하락시 매수 기회로 봐야

협상 도구로 관세 활용. 리스크 3개월 내 완화될 전망

실제 지난 금요일 개인 투자자들 21억달러 투입

지난 3년간 20억달러 이상 유입은 9번 뿐

이 중 5번이 2025년에 발생. 위기를 이용하는 전략 가동

주요 종목들은 여전히 관세 경계감에 약세 보이기도

특히 애플은 낙관적 분석 불구 중국 관세 우려에 하락 

Needham. 애플 AI 출시 주목 받으나 중국 부진 주의해야

서비스 성장은 낙관적 요인. 목표 260달러. 매수 유지

Future Fund. 테슬라 18%가 수출 차량. 관리 리스크 노출

멕시코 등에서 부품 들여오는 포드, GM 등 약세

자동차 빅3 판매 차량 25~40%는 캐 혹은 멕에서 수입 

1월 ISM제조업지수는 50.9로 예상 49.3 상회


◎ 주요 지표

달러인덱스 108.91 (+0.5%)

국제유가 72.91달러 (+0.52%)

변동성지수 18.62 (+13.33%)

10년물 금리 4.533%

MSCI 한국지수 -1.09%

야간선물 +1.22%


◎ 전망과 전략

이틀 연속 미국발 악재에 큰 폭 하락한 상태

딥시크, 관세로 연휴 전 보다 저점 -100p까지 하락

외국인 투자자들 이틀간 약 -2조원 순매도

트럼프 특유의 언론 플레이 영향도 컸다고 봐야

투자자들의 '기대'는 미국도 타격 있으니 협상할 것

트럼프는 날짜 강행하고 신경 안 쓴다는 언급도

상대방 협상력을 약화시키는 취지로도 해석

일단 멕시코 관세 유예로 협상용이라는 점 확인

부분 안도감 나오며 반등할 명분은 확보한 것

금융 시장은 계속 추정 보다 보여지는 현상에 반응

관세 부과시 이에 따른 인플레, 소비위축 우려 등

글로벌 경제에 어느 정도 영향은 불가피

반면 트럼프 완화 보도 나올 때 마다 안도하는 현상 반복

2018년 이 후 무역전쟁 때 역시 같은 패턴이 이어짐

뻔하지만 특유의 강한 언론 플레이에 변동성은 불가피

다만 이미 대선 과정에서 예고된 사안이었음

EU 관세 전까지 '부과' 재료 자체 소강 상태

ISM제조업지수 개선도 우리 증시에는 긍정적 재료

테크, 수출 흐름과 연동이 되는 지표

한편으로는 재료 대비 낙폭 과도한 측면도

주후반 ADR상 과매도권 진입하는 시기

낙폭이 컸던 종목들 선별적으로 주목해 볼 시기

이재용 회장 선거 후 삼성전자 움직임도 주목

경영 불확실성 해소에 수급, 주가 반응하는지

AI+가치분석 기반 투자플랜

2월 5일 시황. 관세 우려 완화, 팔란티어 실적, 고용 둔화

시황

25.02.05 08:17

마감 시황. 트럼프, 시진핑 통화 전 변동성

시황

25.02.04 15:10

2월 4일 시황. 트럼프 '관세 놀이'에 변동성 보인 하루

시황

25.02.04 08:29

마감 시황. 딥시크+관세에 이틀간 2조원 매도한 외국인

시황

25.02.03 15:38

2월 3일 시황. 딥시크에 관세까지 더해지는 주간

시황

25.02.03 08:25

마감 시황. 밀린 숙제부터 끝낸 증시

시황

25.01.31 15:40

1월 31일 시황. 양호한 실적 VS 트럼프 관세 발언

시황

25.01.31 08:11

1월 24일 시황. 트럼프, 금리와 유가 내려, 관세 올리고

시황

25.01.24 08:05

마감 시황. 실적, 경기, BOJ

시황

25.01.23 15:25

1월 23일 시황. 스타게이트 효과에 AI주 중심 강세

시황

25.01.23 08:11

마감 시황. 트럼프, '내가 왔다'

시황

25.01.21 15:40

1월 20일 시황. 트럼프, BOJ, 대형주 실적

시황

25.01.20 08:37

마감 시황. 퐁당퐁당 움직인 한국 증시

시황

25.01.17 15:15

1월 17일 시황. 테슬라, 애플 악재에 발목

시황

25.01.17 08:27

마감 시황. CPI와 금리에 반응한 외국인

시황

25.01.16 15:04

1월 16일 시황. CPI 안도 + 실적 호조에 급등

시황

25.01.16 08:40

마감 시황. 장중은 CPI, 후반은 BOJ 영향에..

시황

25.01.15 15:50

1월 15일 시황. 트럼프 공약 하나 둘 후퇴?

시황

25.01.15 08:28

마감 시황. 관세, 이차전지, 로봇 재료에 상승

시황

25.01.14 16:06

1월 14일 시황. 금리, 빅테크, 규제 변수에 혼조

시황

25.01.14 07: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