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영역 바로가기

컨텐츠영역 바로가기

네비게이션메뉴영역 바로가기

종목을 찾아볼까요?

시황

마감 시황. 코스닥 또 연중 최고치 도전

고릴라리서치+
2025-02-05 16:14:20

마감 시황. 코스닥 또 연중 최고치 도전


관세 우려 완화, 미국 지표에 반응하며 상승

코스닥은 다시 120일선 돌파하며 연고점 도전


멕시코, 캐나다, 중국 모두 결국 전면 충돌은 피함

중국의 맞보복 나왔지만 관세 시점은 10일 이 후

트럼프가 시진핑과의 통화 급하지 않다고 발언

양측이 급하게 혹은 강하게 충돌하는 양상은 아님

물론 강한 발언, 정책 표현될 가능성 높지만 일단 완화


미국의 주요 지표들 공개 후 안도감도

전일 ISM제조업지수, 오늘 나온 고용 지표

제조업 회복과 금리 상승 우려 완화로 작용

오늘 아시아에서 우리와 대만 증시가 특히 강했음

고용. 금리 하락 보다 ISM제조업 지수 영향이 컸을 수도

미국 제조업지수는 우리나라 수출, 테크주에 영향

12월 이 후 관련 지표 나올 때 시장이 반응했었음

12월 이 후 3~4일에는 모두 외국인이 순매수

관련 지표에 반응한 것으로 추정


알파벳, AMD 실적 공개 후 시간 외 하락

이 여파로 미국 선물 지수도 하락

그러나 자본 지출 증가에 투자자들은 더 주목

알파벳은 750억달러 올해 지출 계획 공개

시장 전망 600억달러 보다 큰 수치

딥시크 이 후 제기된 투자 축소론 근거 없다는 점 확인

주춤했던 투자심리, 기술주 상승 이끈 재료


이차전지, 반도체, 소프트웨어 등 강세

조선 등 최근 올랐던 종목들은 주춤


외국인 전기전자, 제약, 금속, 화학 등 중심 매수

운송장비, 기계, 금융은 매도

코스닥은 전일 대규모 매수 후 추가 매수

기관은 제약, 화학, 전기전자 등 매수

운송장비, 증권, 기계 등은 매도. 코스닥 순매도


트럼프의 발언과 실제 행동은 다를 가능성에 무게

중기로 경제, 단기로 증시 타격을 꺼리는 모습

BoA. 주식 시장이 미국 행정부의 점수라고 봐야

실제 이전 자신 성과 지표로 주식 시장을 지목하기도

다만 관세는 실제 성과를 얻어 내기 위한 강한 수단

반대 급부 얻기 위해 그만큼 부분 실행 가능성도 염두

이 때문에 발언 나올 때 마다 증시는 변동성은 불가피

투자 심리가 완전히 회복된 것은 아님

지난 금요일 이 후 지수의 변동폭이 단기에 100p 수준

불안정한 상태가 이어지면서 종목별 변화도 커진 상황


반면 가격 부담 역시 같이 줄어든 점도 주목해야

또 미국 금리 하락, 제조업지수 회복 등 긍정 요인도

종목 장세가 이어질 환경은 된다고 판단

최근 조정폭 컸던 종목 중 기관 매수 누적된 경우

실적이나 PBR 대비 과하게 눌린 종목들

국내 금리인하 가능성에 영향 받는 종목들 주목

AI+가치분석 기반 투자플랜

마감 시황. 동네 바보형 모드 풀고 돌아온 삼성전자

시황

25.03.17 15:19

마감 시황. 셧다운 우려 줄고. 반도체+제약 오르고

시황

25.03.14 15:35

3월 14일 시황. 트럼프 관세 발언, 셧다운 우려 겹치며

시황

25.03.14 08:13

마감 시황. CPI 보다. 만기 + 정치 변수

시황

25.03.13 15:02

3월 13일 시황. CPI 안도에 AI주, 테슬라 급반등

시황

25.03.13 08:11

3월 12일 시황. 트럼프 관세, 유예, 강행 언급에 출렁

시황

25.03.12 08:09

마감 시황. 낙폭은 줄였지만 여전히 혼란한 증시

시황

25.03.11 15:34

3월 11일 시황. 트럼프 정책 강행 발언에 침체 우려 ↑

시황

25.03.11 07:58

마감 시황. 경기, 트럼프, 만기일, 정치 다 걸리는 주간

시황

25.03.10 15:12

3월 10일 시황. 외부는 관세, 국내는 정치 변수 변동성

시황

25.03.10 08:08

마감 시황. 거를 타선이 없었던 날..

시황

25.03.07 15:19

3월 6일 시황. 자동차 관세 유예. 인플레 우려 진정에 상승

시황

25.03.06 08:04

마감 시황. 다시 관세 우려 완화 모드에 반등

시황

25.03.05 15:30

3월 5일 시황. 관세 이어지며 하락. 엔비디아는 반등

시황

25.03.05 08:42

마감 시황. 일단 예정된 악재였던 관세 부과

시황

25.03.04 15:19

3월 4일 시황. 트럼프 관세 강행 언급 + 엔비디아 급락 여파

시황

25.03.04 08:05

마감 시황. 실적, 경기, 수급, 관세. 거를 타선없는 악재

시황

25.02.28 15:11

2월 28일 시황. 트럼프 관세 + 엔비디아 + 경기 우려

시황

25.02.28 08:07

2월 27일 시황. 트럼프 변동성. 엔비디아 실적

시황

25.02.27 08:04

마감 시황. 3일 연속 하락하지 않는 증시

시황

25.02.26 1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