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영역 바로가기

컨텐츠영역 바로가기

네비게이션메뉴영역 바로가기

종목을 찾아볼까요?

시황

2월 6일 시황. 금리 내리고, 엔비디아 오르고. 증시 반전

고릴라리서치+
2025-02-06 08:40:04

2월 6일 시황. 금리 내리고, 엔비디아 오르고. 증시 반전 


◎ 해외 증시

엔비디아 등 반도체주 강세에 전약 후강으로 반전

장초반은 알파벳, AMD 실적, 애플 중국측 조사 보도에 하락

알파벳 클라우드 매출 성장이 둔해진 점 매물 요인

AMD는 호실적 불구 데이터센터 부문 부진에 약세

데이터센터는 39억달러 매출로 예상 41억달러 하회

다만 월가 대부분 알파벳에 대해서는 긍정적 평가

JP모건. AI 혁신, 광고 성장 낙관. 220달러 하향하나 매수

BoA. 검색 수익화 AI 수혜 평가해야. 225달러 유지

골드만삭스. 회사의 행보 주목해 볼만. 215→220 상향

애플 앱스토어에 대한 중국의 반독점 조사 움직임도

결제 수수료와 외부 결제 진입 장벽이 문제

매출 비중 높은 중국 시장 약화 우려에 매물

지수가 반전하면서 약보합 수준까지 회복

장중 시장을 끌어 올린 것은 국채 금리와 반도체주

국채 금리는 지표 부진과 재무부 국채 발행 계획에 하락

1월 ISM서비스업지수 52.8로 예상 54.2 하회

ISM측은 열악한 날씨 영향이 일부 작용한 것으로 추정 

국채 금리 4.4% 초반까지 밀리며 기술주 매수 유입

재무부 4월까지 국채 발행 규모 유지한다고 발표

증가하지 않는 점 주목. 금리 하락 이유로 작용한 듯

슈퍼마이크로. 엔비디아와 협력해 AI데이터센터 확대 발표

블랙웰 완전하게 지원하는 인프라 구축, 8% 가까이 상승

빅테크 자본 지출 재료와 맞물려 엔비디아도 큰 폭 상승

메타, 마이크로소프트, 알파벳 올해 자본 지출 2,280억달러

작년 1,500억달러 대비 55%나 급증한 것

딥시크 부각되며 제기되던 우려 완화

씨티. 목표가 175달러→163달러 하향하나 매수 유지

마벨, 마이크론, 램리서치 등 주요 반도체주 상승률 상위 포진

브로드컴은 알파벳 자본 지출 수혜주로 부각되며 강세

알파벳 자체 프로세서 TPU는 브로드컴이 설계 및 생산 

테슬라는 관세 전쟁, 유럽 차량 등록 감소 보도에 약세

페퍼스톤. 관세, 고용 지표. 아마존 실적 등 변수 많아

투자자들 신중함 거두기 어려운 시기

데이터트렉. 트럼프는 첫 임기 때도 관세를 협상 도구로

지금의 행동 놀랍지 않아. 경제 영향 없다면 증시 낙관

S&P500 4분기에 13.2% 이익 증가해 예상치 넘길 듯

전일 나온 구인건수 과열 없이 건전한 수준으로 평가  

1월 ADP민간고용은 18.3만. 예상 15만 상회

이 날은 알파벳, 애플, 트럼프 가자 지구 발언 몰린 날

그럼에도 시장이 반등했다는 점에 의미를 두는 분석도


◎ 주요 지표

달러인덱스 107.63 (-0.3%)

국제유가 71.19달러 (-2.08%)

변동성지수 15.77 (-8.37%)

10년물 금리 4.43%

MSCI 한국지수 +1.16%

야간선물 +0.45%


◎ 전망과 전략

관세 우려 완화, 지표 맞물리며 외국인 매수 유입

미중 무역갈등, ISM제조업지수는 우리 경제 직접 영향

특히 미국 제조업지수 회복에 반응 나온 점 주목

외국인은 작년 10월 이 후 이 지표 나온 직 후 매수 반복

제조업지수 공개 직후 거래일에는 코스피 상승함

이번주 지수 반등에 부분적으로 역할을 한 듯

다만 관세 등 상황이 완전히 해소된 것은 아님

중국에 대한 대응은 캐나다, 멕시코와는 다를 가능성

또 EU에 대한 관세 관련 조치는 아직 나오지도 않았음

특히 관세 이슈 불구 미 증시는 선전하고 있다는 점

트럼프가 더 과감하게 흔들 가능성도 있어 보임

다만 근본적으로는 관세가 협상용이라는 점 다시 입증

미국은 2018년 대비 금리, 인플레가 높은 상태

중국의 경기가 안 좋은 상태. 결국 합의점 찾아갈 전망

ISM제조업지수, 금리 하락 등 긍정적 재료도 겹침

차별적 종목 장세가 전개될 가능성이 높아 보임

최근 낙폭이 컸던 종목 중 기관 매수 누적된 종목들

실적 회복 전망 대비 눌린 종목들 관심

AI+가치분석 기반 투자플랜

마감 시황. 동네 바보형 모드 풀고 돌아온 삼성전자

시황

25.03.17 15:19

마감 시황. 셧다운 우려 줄고. 반도체+제약 오르고

시황

25.03.14 15:35

3월 14일 시황. 트럼프 관세 발언, 셧다운 우려 겹치며

시황

25.03.14 08:13

마감 시황. CPI 보다. 만기 + 정치 변수

시황

25.03.13 15:02

3월 13일 시황. CPI 안도에 AI주, 테슬라 급반등

시황

25.03.13 08:11

3월 12일 시황. 트럼프 관세, 유예, 강행 언급에 출렁

시황

25.03.12 08:09

마감 시황. 낙폭은 줄였지만 여전히 혼란한 증시

시황

25.03.11 15:34

3월 11일 시황. 트럼프 정책 강행 발언에 침체 우려 ↑

시황

25.03.11 07:58

마감 시황. 경기, 트럼프, 만기일, 정치 다 걸리는 주간

시황

25.03.10 15:12

3월 10일 시황. 외부는 관세, 국내는 정치 변수 변동성

시황

25.03.10 08:08

마감 시황. 거를 타선이 없었던 날..

시황

25.03.07 15:19

3월 6일 시황. 자동차 관세 유예. 인플레 우려 진정에 상승

시황

25.03.06 08:04

마감 시황. 다시 관세 우려 완화 모드에 반등

시황

25.03.05 15:30

3월 5일 시황. 관세 이어지며 하락. 엔비디아는 반등

시황

25.03.05 08:42

마감 시황. 일단 예정된 악재였던 관세 부과

시황

25.03.04 15:19

3월 4일 시황. 트럼프 관세 강행 언급 + 엔비디아 급락 여파

시황

25.03.04 08:05

마감 시황. 실적, 경기, 수급, 관세. 거를 타선없는 악재

시황

25.02.28 15:11

2월 28일 시황. 트럼프 관세 + 엔비디아 + 경기 우려

시황

25.02.28 08:07

2월 27일 시황. 트럼프 변동성. 엔비디아 실적

시황

25.02.27 08:04

마감 시황. 3일 연속 하락하지 않는 증시

시황

25.02.26 1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