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영역 바로가기

컨텐츠영역 바로가기

네비게이션메뉴영역 바로가기

종목을 찾아볼까요?

시황

2월 14일 시황. 트럼프 관세, PPI 우려가 '안도'로 바뀌며

고릴라리서치+
2025-02-14 08:15:40

2월 14일 시황. 트럼프 관세, PPI 우려가 '안도'로 바뀌며


◎ 해외 증시

관세 뉴스, PPI 이어진 가운데 기술주 강세에 상승

개장 전 나온 생산자물가지수는 예상 상회

1월 헤드라인 전년 3.5%, 전월 0.4%. 예상 3.2%, 0.3%

근원은 3.6%, 0.3%. 예상은 3.3%, 0.3%였음

상품 지수 0.6%로 큰 영향. 서비스 지수는 0.3%로 낮아짐

12월 수치 보다는 낮았고 PCE 적용되는 항목은 오히려 하락

무난한 수준으로 평가되며 국채 금리 하락

관세 뉴스 나왔지만 시행 시점이 당장 아니라는 점에 '안도'

트럼프는 모든 국가들에 상호관세 부과하는 행정명령 서명

4월 1일까지 검토 후 국가별로 다룰 것. 차등적인 관세율 시사

자동차 관세 역시 곧 발표할 것이라고 발언

소비자 가격 상승할 수 있으나 일자리 늘어날 것라고

관세 부과 폭, 정확한 시점은 공개되지 않은 점 주목

이 역시 협상용으로 평가하며 일단 '안도'하는 모습

날짜 줄테니 국가별로 알아서 카드 준비하라는 의미

한편 반도체법은 조건을 일부 변경하는 것 검토한다고

계약 조건 변경. 몇몇 보조금 재협상 계획

다만 기존 계약에 영향을 주는지는 아직 알려지지 않음

전쟁 리스크 완화에 따른 긍정적 효과 기대감도

곡물 가격, 유가 끌어 올렸던 요인이 제거되는 것

유럽 정세 안정에 유로화 상승, 달러 하락 가능성

엔비디아 등 주요 빅테크주 오르며 지수 견인

엔비디아는 HPE에서 블랙웰 기반 솔루션 첫 출하에 강세

Arm. 메타를 첫 고객으로 하는 자체칩 출시 보도에 상승

테슬라는 규제 완화 기대, 오픈AI 인수 철회 가능성에 상승

오픈AI가 비영리 조직으로 남으면 인수 진행 안 할 것

트럼프가 국방비 지출 줄일수 있다고 언급하자 방산주 하락

BNP파리바. 노동, 기대인플레. 관세 등 인플레 불안 요인

반면 최근 인플레 악재에도 시장 버티는 점 주목

야후. 미시건대 기대인플레, 전일 CPI에도 시장 방어

여전한 추가 인하 기대. 인상 주장도 전제가 깔린 것

파이퍼샌들러. 중국과 무역마찰시 대형 IT주 피해

IT 업종 매출 중 14% 중국에서 발생. 반도체 20%

에너지, 소비재, 자동차 등도 중요한 리스크 노출


◎ 주요 지표

달러인덱스 107.09 (-0.78%)

국제유가 71.42달러 (+0.07%)

변동성지수 15.09 (-5.03%)

10년물 금리 4.531%

MSCI 한국지수 +2.24%

야간선물 +0.41%


◎ 전망과 전략

코스닥에 이어 코스피도 120일선 돌파

딥시크, 관세로 이어지며 하락했던 것 이상 복원

지수 상승에는 몇 가지 요인이 겹친 것

우선 우려 요인 관세 우려가 완화된 점

트럼프 임기 시작 후 뉴스 반복되나 아직 영향은 제한

물론 3월 이 후 관세 압박이 커지며 변동성 가능성 충분

일단 단기로는 협상용으로 보고 과한 반응 없는 것

그리고 낙폭 과대였다는 점도 영향

작년 한국 증시는 글로벌 증시 최하위권

하락 유발 요인인 삼성전자가 최근 긍정적 뉴스 이어짐

파운드리, HBM 관련 보도 나오는 등

실적 하향이 마무리될 것이라는 기대 겹친 것

추가 상승 여부는 불확실하나 적어도 작년과는 달라짐

오늘 트럼프의 반도체법 재협상 보도 영향은 주목

단기적으로 변수가 되는지 정도는 체크

코스닥은 2개월째 3일 연속 하락은 없음

종목 장세가 이어지는 상황으로 보고 활용 필요

딥시크 충격 이 후 기관 매수 유입된 종목들 지속 주목

AI+가치분석 기반 투자플랜

마감 시황. 동네 바보형 모드 풀고 돌아온 삼성전자

시황

25.03.17 15:19

마감 시황. 셧다운 우려 줄고. 반도체+제약 오르고

시황

25.03.14 15:35

3월 14일 시황. 트럼프 관세 발언, 셧다운 우려 겹치며

시황

25.03.14 08:13

마감 시황. CPI 보다. 만기 + 정치 변수

시황

25.03.13 15:02

3월 13일 시황. CPI 안도에 AI주, 테슬라 급반등

시황

25.03.13 08:11

3월 12일 시황. 트럼프 관세, 유예, 강행 언급에 출렁

시황

25.03.12 08:09

마감 시황. 낙폭은 줄였지만 여전히 혼란한 증시

시황

25.03.11 15:34

3월 11일 시황. 트럼프 정책 강행 발언에 침체 우려 ↑

시황

25.03.11 07:58

마감 시황. 경기, 트럼프, 만기일, 정치 다 걸리는 주간

시황

25.03.10 15:12

3월 10일 시황. 외부는 관세, 국내는 정치 변수 변동성

시황

25.03.10 08:08

마감 시황. 거를 타선이 없었던 날..

시황

25.03.07 15:19

3월 6일 시황. 자동차 관세 유예. 인플레 우려 진정에 상승

시황

25.03.06 08:04

마감 시황. 다시 관세 우려 완화 모드에 반등

시황

25.03.05 15:30

3월 5일 시황. 관세 이어지며 하락. 엔비디아는 반등

시황

25.03.05 08:42

마감 시황. 일단 예정된 악재였던 관세 부과

시황

25.03.04 15:19

3월 4일 시황. 트럼프 관세 강행 언급 + 엔비디아 급락 여파

시황

25.03.04 08:05

마감 시황. 실적, 경기, 수급, 관세. 거를 타선없는 악재

시황

25.02.28 15:11

2월 28일 시황. 트럼프 관세 + 엔비디아 + 경기 우려

시황

25.02.28 08:07

2월 27일 시황. 트럼프 변동성. 엔비디아 실적

시황

25.02.27 08:04

마감 시황. 3일 연속 하락하지 않는 증시

시황

25.02.26 15: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