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영역 바로가기

컨텐츠영역 바로가기

네비게이션메뉴영역 바로가기

종목을 찾아볼까요?

시황

2월 19일 시황. 종전 협상. 반도체 랠리. 금리 상승

고릴라리서치+
2025-02-19 08:08:20

2월 19일 시황. 종전 협상. 반도체 랠리. 금리 상승


◎ 해외 증시

큰 뉴스 없는 가운데 소폭 상승 마감

11개 업종 중 8개 상승, 3개 하락. 전체적 분위기는 양호

종전, 금리, 반도체주 재료 등으 주요 이슈로 작용

러시아, 우크라이나 종전을 위한 미러 회담 주목

기대감은 있으나 아직 회담 첫 단계라는 점

유럽 국가들 참여 없었고 이 날 회담은 장관급 회담

다만 이 후 증시에 긍정적인 영향 줄 가능성은 평가

State Street. 전쟁 종료 증시에 긍정적, 방산 업체 수혜

JP모건. 나토 회원국 국방비 0.5%p당 1,150억달러 증가

록히드 마틴 같이 유럽 매출 비중 있는 기업들 수혜

국채 금리 상승한 점은 관망 심리에 영향

유럽 국채 발행 증가 전망, 연준 인사들 신중론

메리 데일리. 인플레 진전 확인시까지 금리 유지

올해 추가 인하하기에는 글로벌 상황이 불확실

일부 반도체주들 큰 폭으로 오르며 지수 방어 역할

인텔은 설계는 브로드컴, 제조는 TSMC에 매각 검토

마이크론은 하반기 메모리 시황 개선 기대에 강세

미즈호. 낸드 3분기 10%~15%, 4분기 8%~13% 상승 전망

마이크론 올해 130달러 이상 타진 가능성있다고 분석

슈퍼 마이크로는 높은 매출 전망 제시에 급등

램리서치, 웨스턴 디지털 등도 강세

BoA. 엔비디아 실적 낙관적으로 판단. 매수 유지

Hargreaves Lansdown는 한국 모멘텀도 작용한다고

한국 정부 AI 컴퓨팅 센터 계획. 엔비디아 제품 구매할 것

다만 대형주 전반적인 매물에 주가는 주춤

20일 연속 올랐던 메타는 매물 출회되며 하락

마크 해켓. 실적 + 자사주 매입 재개로 증시 강해져

골드만삭스. 관세가 기업들 투자에 영향

S&P1500 기업들 올해 설비 투자 기대치 5% 상향

관세 노출된 기업 2%, 캐, 멕, 중 비중 큰 기업 1% 하향

이번 관세에 노출된 기업들이 의외로 많다는 점도

가령 펩시코의 경우 캔에 사용하는 알루미늄 관세 영향

BoA. 글로벌 매니저들 현금 비중 15년 내 최저

좋게 보면 낙관론. 조심스럽게 보면 상승 여력 제한

매니저들 42%는 올해 최대 리스크로 '무역전쟁' 

2월 엠파이어스테이트 제조업지수 5.7. 예상 -1.9 상회


◎ 주요 지표

달러인덱스 107.02 (+0.42%)

국제유가 71.77달러 (+1.46%)

변동성지수 15.35 (-0.13%)

10년물 금리 4.55%

MSCI 한국지수 +1.34%

야간선물 +0.32%


◎ 전망과 전략

최근 상승 동력은 금리와 달러 상승 완화

러, 우 전쟁 종료는 두 가지 측면에서 의미

곡물가, 에너지 가격 낮춰 인플레 우려 완화

유럽 정세 안정은 유로 강세, 달러 약세 요인

달러인덱스 하락할 경우 외국인 수급에 영향

업종별 호재성 재료가 이어지는 점도

삼성전자 주주 환원 정책 이어지며 지수 방어 역할

로봇, 방산 등 기존 강세주들오 산발적 호재

종목들이 돌아가며 지수 방어하는 것

수급에서는 연기금 매수가 증시에 긍정적 영향

국내 주식 비중 높이는 과정에서 대형주 매수 유지

연속적인 하락을 막아주는 역할을 하는 것

종목 장세가 이어질수 있는 환경은 된다고 봐야

최근 저점, 고점 높이기 시작한 수급주들

PBR 밴드 하단 아래 내려갔다가 회복하는 종모들

기관 수급 이어지는 종목군 관심 지속

AI+가치분석 기반 투자플랜

마감 시황. 셧다운 우려 줄고. 반도체+제약 오르고

시황

25.03.14 15:35

3월 14일 시황. 트럼프 관세 발언, 셧다운 우려 겹치며

시황

25.03.14 08:13

마감 시황. CPI 보다. 만기 + 정치 변수

시황

25.03.13 15:02

3월 13일 시황. CPI 안도에 AI주, 테슬라 급반등

시황

25.03.13 08:11

3월 12일 시황. 트럼프 관세, 유예, 강행 언급에 출렁

시황

25.03.12 08:09

마감 시황. 낙폭은 줄였지만 여전히 혼란한 증시

시황

25.03.11 15:34

3월 11일 시황. 트럼프 정책 강행 발언에 침체 우려 ↑

시황

25.03.11 07:58

마감 시황. 경기, 트럼프, 만기일, 정치 다 걸리는 주간

시황

25.03.10 15:12

3월 10일 시황. 외부는 관세, 국내는 정치 변수 변동성

시황

25.03.10 08:08

마감 시황. 거를 타선이 없었던 날..

시황

25.03.07 15:19

3월 6일 시황. 자동차 관세 유예. 인플레 우려 진정에 상승

시황

25.03.06 08:04

마감 시황. 다시 관세 우려 완화 모드에 반등

시황

25.03.05 15:30

3월 5일 시황. 관세 이어지며 하락. 엔비디아는 반등

시황

25.03.05 08:42

마감 시황. 일단 예정된 악재였던 관세 부과

시황

25.03.04 15:19

3월 4일 시황. 트럼프 관세 강행 언급 + 엔비디아 급락 여파

시황

25.03.04 08:05

마감 시황. 실적, 경기, 수급, 관세. 거를 타선없는 악재

시황

25.02.28 15:11

2월 28일 시황. 트럼프 관세 + 엔비디아 + 경기 우려

시황

25.02.28 08:07

2월 27일 시황. 트럼프 변동성. 엔비디아 실적

시황

25.02.27 08:04

마감 시황. 3일 연속 하락하지 않는 증시

시황

25.02.26 15:06

2월 26일 시황. 미국 소비 지표 위축 + 빅테크 악재들

시황

25.02.26 0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