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영역 바로가기

컨텐츠영역 바로가기

네비게이션메뉴영역 바로가기

종목을 찾아볼까요?

시황

3월 19일 시황. FOMC 경계, 엔+테 부진에 약세

고릴라리서치+
2025-03-19 08:08:26

3월 19일 시황. FOMC 경계, 엔+테 부진에 약세


◎ 해외 증시

반등 이 후 매물, 성장 전망 하향, 빅테크 약세에 하락

이틀 연속 상승 종목수가 90%였음

과거 데이터상 일주일 이내 매물 출회되는 경향

관세 전쟁에 따른 경기 둔화 우려 다시 부각

BoA 매니저 설문에서 미국 주식 비중 축소. 현금 확대

최대 리스크로 트럼프의 관세 정책을 지적

피치. 관세 영향에 미국 성장 전망 2.1% → 1.7%로 하향 

FOMC도 신중 요인. 금리 동결 유력하나 경제 전망 주목

점도표, 인플레, 성장 전망 확인해야 한다는 시각

가자 지구, 러-우 등 지정학 문제 불거진 점도 경계

특히 이스라엘, 하마스 휴전에 위기가 생긴 점

관세 등으로 불안정한 상황 악화될까 우려하는 시각

트럼프, 푸틴은 에너지, 인프라 분야에 국한된 휴전 합의

뱅크J. 관세 외 베센트 발언으로 행정부 불확실성도 문제

베센트는 침체 언급은 오해라고. 경제 언론 보도 보다 좋아 

불공정한 거래하는 15%의 국가가 관세의 대부분 차지할 것

엔비디아, 테슬라 등 빅테크 대부분 하락하며 약세 주도

테슬라는 BYD의 충전 기술 공개. RBC 목표가 하향 여파

RBC. 테슬라 경쟁 심화 부정적. 440 → 320. 투자 의견은 유지

엔비디아는 잰슨황 기조 연설 불구 재료 노출로 약세

블랙웰 다음인 루빈. 내년 하반기 출시 예고

야데니. 딥시크 등장 후 대규모 자금 지출 타당한지 의구심

이 여파로 주요 빅테크주들에 대한 기대 예전만 못해

제프리스. 팔란티어 기술력 좋지만 밸류 부담. 60달러

RBC. 테슬라 경쟁 심화 부정적. 440 → 320. 투자 의견은 유지

에버코어. 애플 안정적 성장 가능. 260 → 275 상향

골드만삭스, 랄프로렌 매크로 리스크에 안정적. 286달러 상향

JP모건 등 이번 변동성에 투자 수익이 급증했을 가능성

증시 변동성에 파생상품 거래가 급증한 것이 이유로 추정

다만 JP모건이나 골드만삭스 측은 논평을 거부했다고

도이치뱅크, 울트리서치 매도세 아직 끝났다 보기 일러

모건스탠리. 금리인하 재개 전까지 강세장 어려워

웨이브 캐니털. 4월 2일 관세 공개 전 증시는 불안정할 것

블룸버그. 하락 이용 기업 내부자들 매수는 늘고 있어

매수자,매도자 비율 1월 0.31에서 0.46으로

6월 이 후 최고치. 투자자들 바닥 신호로 해석할 수도

라운드힐 인베스트. 경제, 기업 비즈니스에 대한 자신감

올해 자사주 매입 발표 2,980억달러, 역대 3위권

2월 주택착공건수, 산업생산 등은 예상 상회

수입물가가 0.4%로 예상 0% 넘어 인플레 우려 자극

수입물가, 산업생산은 관세 전 미리 대응한 것이라는 분석


◎ 주요 지표

달러인덱스 103.27 (-0.1%)

국제유가 66.82달러 (-1.06%)

변동성지수 21.7 (+5.8%)

10년물 금리 4.285%

MSCI 한국지수 -1.54%

야간선물 -0.11%


◎ 전망과 전략

일정, 단기 상승에 대한 경계감 일부 작용

GTC, FOMC, 마이크론 실적, 헌재 결정 등

4월부터는 미국의 상호 관세 뉴스도 이어질 시기

삼성전자가 전고점에서 막힌 점도

아직 남아있는 대규모 선물 매도 풀지 못하고 있음 

반등 후 투자자들이 신중할 수 있는 구간

다만 추세가 완전히 바뀌는 국면은 아니라는 판단

연초 대비 달러인덱스 하락이 이어짐

미국에서 다른 나라로 투자 자금이 분산되는 중

중국 경기 부양, 유럽도 추가로 부양성 정책 전망

연준도 연내 추가 금리인하가 유력하다는 분석

달러, 유로, 위안이 모두 더 풀릴 가능성이 높은 것

일시 변동성 구간 지나고 다시 반등 시도 재개 예상

코스닥은 종목 장세가 이어질 환경으로 보임

꾸준하게 매수 이어지고 있는 기관 종목들 주목

AI+가치분석 기반 투자플랜

마감 시황. 관세와 헌재 이벤트 정점 통과

시황

25.04.04 15:09

4월 4일 시황. 코로나 때만큼 폭락한 미 증시

시황

25.04.04 07:30

마감시황. 변동 마무리국면 진입

시황

25.04.03 15:34

4월 3일 시황. 트럼프 관세 공개 후 시간 외 약세

시황

25.04.03 07:48

마감 시황. 관세 + 한국만 예정되어 있는 큰 이벤트

시황

25.04.02 15:04

4월 2일 시황. 빅테크 상승과 협상 기대에 나스닥↑

시황

25.04.02 08:27

마감 시황. 정치 불확실성 해소 기대 + 관세 우려 주춤

시황

25.04.01 15:22

4월 1일 시황. 관세 공포 VS 어차피 협상

시황

25.04.01 07:07

마감 시황. 매달 두 번씩 나오는 관세 이벤트

시황

25.03.31 14:58

3월 31일 시황. 온갖 재료 다 몰린 4월 초

시황

25.03.31 06:22

3월 28일 시황. 관세 걱정과 의심이 겹친 투자자들

시황

25.03.28 08:30

마감 시황. 관세, 경기 우려, 신용 물량 걱정 겹치며

시황

25.03.27 15:20

3월 27일 시황. 관세, 증시 전망, 연준 인사 발언 겹치며

시황

25.03.27 08:18

3월 26일 시황. 관세 리스크 완화. 경기 걱정은 여전

시황

25.03.26 08:26

마감 시황. 관세, 정치, 미국 유턴까지 챙긴 증시

시황

25.03.25 15:26

3월 25일 시황. '유연해진' 트럼프 관세 효과에 급등

시황

25.03.25 08:17

마감 시황. 큰 이벤트 앞두고 몸사린 투자자들

시황

25.03.24 15:08

3월 24일 시황. 관세, 공매도, 헌재 등 슈퍼 위크

시황

25.03.24 08:49

3월 21일 시황. 재해석된 FOMC. 마이크론 실적은 양호

시황

25.03.21 08:06

3월 20일 시황. 침체 우려 완화시켜준 파월

시황

25.03.20 08: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