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영역 바로가기

컨텐츠영역 바로가기

네비게이션메뉴영역 바로가기

종목을 찾아볼까요?

[뉴욕마감시황, 7/22 화 ] “성장 vs 인플레, 미국 경제, 양날의 칼날 위에 선 증시 ... 소비·고용은 뜨거운데, 물가는 다시 꿈틀, 연준의 딜레마가 시작됐다”

친절한미정씨
2025-07-22 08:25:17

1. 시장 개요 및 주요 지수 변동

7월 21일(현지시간) 뉴욕증시는 혼조세로 마감힌 기은데 S&P500은 사상 최초로 6,300선을 돌파했으며, 나스닥은 6거래일 연속 신고가 행진

  • 다우지수: 44,323.07 (-0.04%) 하락
  • S&P 500 지수: 6,305.60 (+0.14%) 사상 최고치 경신
  • 나스닥지수: 20,974.17 (+0.38%) 사상 최고치 경신
  • 러셀 2000 지수: -0.40% 하락 등 혼조 마감



2. 주요 이슈 및 시장 영향

① 실적 호조가 랠리 견인

  • 현재까지 실적을 발표한 S&P500 기업 중 85% 이상이 시장 기대를 상회. 팩트셋에 따르면 실적 발표 초기임에도 전년 동기 대비 5~6.7%의 실적 성장률이 예상되며, 이는 시장 전반의 자신감을 자극. 특히 빅테크(M7)가 실적 성장의 대부분을 견인. 팩트셋은 M7이 2분기에 14%의 이익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으며, 이는 나머지 493개 기업의 평균(3.4%)을 크게 웃도는 수준

② M7 실적 기대감 집중

  • 알파벳(+2.72%)은 실적 발표를 앞두고 강세를 보였고, 아마존(+1.40%), 메타(+1.23%), 애플(+0.62%)도 상승. 테슬라와 엔비디아는 약보합세를 보였고, 마이크로소프트는 보합 마감. 시장은 23일 알파벳과 테슬라의 실적 발표를 포함한 "슈퍼 실적 주간"을 앞두고 낙관적인 시선을 유지

③ 일부 고점 부담과 차익 실현

  • 증시는 강한 실적에도 불구하고 최근 급등에 따른 고점 부담차익 실현 매물이 유입되며 일부 지수에서 상승세가 제한. 다우지수는 상대적으로 덜 상승한 전통 산업 중심의 구성 종목들이 많아 하락세로 전환. “기대치가 낮은 실적에서 긍정적인 결과가 나오는 점이 시장에 고무적”이라며 강세 지속 가능성을 제시했으나, 과열 논란 역시 존재

④ 개별 종목 및 섹터 이슈

  • 통신서비스 섹터(ETF)는 버라이즌(4.04%)의 깜짝 실적 발표로 1.34% 상승, 업종 상승률 선두. 블록(Square)은 S&P500 편입 소식에 7.22% 급등, 4거래일 연속 상승. 트럼프 미디어앤드테크놀로지 그룹은 비트코인 20억 달러 매입 발표 이후 3.11% 상승

3. 정책 및 거시경제 변수

① 관세 협상 리스크 지속

  • 트럼프 행정부는 오는 8월 1일 관세 협상 시한을 앞두고 있지만, “합의를 서두르지 않겠다”는 기조. 스콧 베선트 美 재무장관은 “고품질의 합의가 더 중요하다”며, 일본·EU와의 협상에서도 같은 입장을 유지한다고 강조 → 이는 단기적 불확실성을 제공하지만, 동시에 협상 타결에 대한 정치적 압박으로 해석되며 시장에 안도감을 주는 요인도 병존

② 금리 인하 기대감 유지

  • CME 페드워치툴 기준, 9월 FOMC에서 기준금리 25bp 인하 가능성은 56.2%로 유지. 22일 예정된 제롬 파월 의장 연설과 24일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 7월 PMI 예비치 등이 향후 통화정책 방향의 단서로 주목

③ 경기선행지수 하락

  • 6월 미국 경기선행지수(LEI)는 전월 대비 –0.3% 하락해, 상반기 동안 2.8% 감소. 이는 작년 상반기(–1.3%)보다 더 큰 낙폭이며, 경기둔화 신호로 해석될 수 있음

4. 기타 자산시장 동향

- 국채 금리: 10년물 국채금리 4.372% (-6.0bp), 달러지수(DXY): 97.85 (-0.64%)

- 국제유가: WTI: -0.36% → $67.1, 국제 금값: $3,413.0/oz (+1.79%), 가상자산(BTC): $117,391(-0.52%) 현재 거래 중

결론: 미국 증시는 빅테크 중심의 실적 모멘텀이 지수를 견인하며 신고가 랠리. 실적 개선이 확연히 입증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단기적인 고점 부담, 관세 협상 불확실성, 경기선행지수 약화, 그리고 연준의 금리 스탠스가 불안 요소로 남아 있음

전략적 관점에서는 실적을 기반으로 한 개별 종목 선별 전략과 함께, 정책 변수에 따른 단기 변동성 관리가 필요한 시점



4. 업종별 주요 동향




5. 시가총액 Top 10 동향



6. 필라델피아 반도체 주요 종목 등



7. 급등주 & 급락주



8. 52주 신고가 & 신저가

초보투자자 최적화 시스템! 쉽고 친절하게!

[뉴욕마감시황, 8/29 금 ] “사상 최고 속 선택의 시간 ... AI 인프라 질주와 9월 인하 베팅, 당신의 포트는 어디에 무게를 둘 건가?”

25.08.29 08:29

08.29(금) 관심 이슈/테마별, 미정씨 신호포착 종목 스크리닝

칼럼

25.08.29 08:17

08.28(목) 관심 이슈/테마별, 미정씨 신호포착 종목 스크리닝

칼럼

25.08.28 08:40

[뉴욕마감시황, 8/28 목 ] “신고가의 함정? NVDA ‘좋았지만 아쉬운’ 실적 ... AI 킹메이커 엔비디아, 숫자는 이겼다, 그런데 왜 시간외에서 밀렸을까?”

25.08.28 08:26

[뉴욕마감시황, 8/27 수 ] “연준 흔들려도 AI는 선방! S&P +0.41%, 엔비디아 D-1, 지금 필요한 건 리스크 완충과 선택적 베팅입니다.”

25.08.27 08:16

08.27(수) 관심 이슈/테마별, 미정씨 신호포착 종목 스크리닝

칼럼

25.08.27 07:55

[뉴욕마감시황, 8/26 화 ] “잭슨홀 랠리의 숨 고르기, 달러 반등·PCE 대기 속, 다우는 -0.77%로 현실점검 모드로 돌아섰다.”

25.08.26 08:29

08.26(화) 관심 이슈/테마별, 미정씨 신호포착 종목 스크리닝

칼럼

25.08.26 07:56

[주간증시전략] "정상회담 주간, 방어적 공격 ... 밸류와 모멘텀의 교집합을 사라~~, 8/25(월)~8/29(금)

시황

25.08.25 08:21

[뉴욕마감시황, 8/22 금 ] “잭슨홀 앞, 다섯 날 연속 숨 고른 월가, Walmart 미스와 실업지표가 만든경고등.”

25.08.22 08:56

08.22(금) 관심 이슈/테마별, 미정씨 신호포착 종목 스크리닝

칼럼

25.08.22 08:34

[뉴욕마감시황, 8/21 목 ] “잭슨홀을 앞두고 숨 고른 나스닥, 테크 조정은 기회이자 함정, 밸류에이션과 캐시플로의 재발견~”

25.08.21 08:35

08.21(목) 관심 이슈/테마별, 미정씨 신호포착 종목 스크리닝

칼럼

25.08.21 08:29

08.20(수) 관심 이슈/테마별, 미정씨 신호포착 종목 스크리닝

칼럼

25.08.20 08:45

[뉴욕마감시황, 8/20 수 ] “AI 슈퍼주 차익폭탄에 나스닥 급브레이크, 다우만 버틴 하루, 잭슨홀 전 마지막 숨 고르기... AI 프리미엄 가격을 다시 묻다~”

25.08.20 08:38

[뉴욕마감시황, 8/19 화 ] “사상 최고치 앞에서 멈칫한 월가, 잭슨홀을 노려 숨 고른 하루 ... 솔라·헬스케어가 보여준 ‘헤드라인 트레이드”

25.08.19 08:43

08.19(화) 관심 이슈/테마별, 미정씨 신호포착 종목 스크리닝

칼럼

25.08.19 08:40

[주간증시전략] 잭슨홀, 말 한마디가 지수 흔든다 ... 상단에서 줄이고, 하단에서 담는다~ , 8/18(월)~8/22(금)

시황

25.08.18 08:20

[뉴욕마감시황, 8/14 목 ] “연준 인하 카운트다운, 달러·금리 동반 하락 속 S&P·나스닥 또 신고가, 이제 ‘25bp vs 50bp’만 남았다”

25.08.14 08:33

08.14(목) 관심 이슈/테마별, 미정씨 신호포착 종목 스크리닝

칼럼

25.08.14 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