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영역 바로가기

컨텐츠영역 바로가기

네비게이션메뉴영역 바로가기

종목을 찾아볼까요?

시황

20251024 시장 동향

수익타임
2025-10-24 08:15:24

[전일 한국시장 동향]

• KOSPI는 3,845포인트로 전일보다 -0.98% 하락하였으며, KOSDAQ은 872포인트로 -0.81% 내렸다니다.

• 장중 KOSPI는 개인 매수세로 처음으로 3,900선을 터치하였으나 차익실현 압력으로 하락하며 마감하였임니다.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는 기준금리 2.50%를 3회 연속 유지하였으며, 9월 이후 달러/원 환율이 1,430원을 넘어서면서 시장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 테슬라 실적 부진으로 2차전지 관련 매물이 출회되었으며, 삼성전자도 자사 AI 반도체칩 ‘AI5’ 개발에 참여한다는 소식도 전해졌습니다.

• 한미 간의 관세협상이 타결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으나, 이재명 대통령은 ‘시간이 다소 걸릴 것 같다’고 발언하였으며, 자동차 관련 주는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전일 LS ELECTRIC은 실적 발표 후 약 15% 급등하며 신고가를 기록하였으며,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하회하였으나 초고압변압기 등 매출 증가 기대가 있었습니다.


--------------------------------

[주요 뉴스 5가지]


1.미국이 러시아 석유 대기업 제재 강화

• 러시아 석유 대기업 제재로 인해 브렌트유는 66달러 이상으로 급등하였으며, 배럴당 60달러로 떨어졌던 시점보다 상승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인도 등 주요 구매국의 러시아산 원유 수입에 차질이 생길 우려가 제기되고 있습니다.


2.연준, 양적긴축 종료 전망 나와

• JP모간과 BofA는 연준이 10월에 양적긴축(QT)을 종료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시장 차입 금리 상승이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레포금리 상승과 자금 조달 압력은 유동성 희소성을 시사하고 있습니다.


3.원화 약세 지속으로 환율 변동성 높아질 것

• 달러-원 환율은 1437원 부근에서 마감하였으며, 올해 고점인 1480원에 근접하고 있습니다. 다음 주 APEC와 한-미 정상회담을 앞두고 외환당국의 경계심이 커지고 있으며, 변동성이 높아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4.월가, 보너스 최고치 기대

• 상반기 금융회사 이익은 304억 달러로 집계되었으며, 이 실적이 유지될 경우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금리와 인플레이션 불확실성 속에서도 월가의 강한 실적 기대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5.중국, 기술 자립과 내수시장 확대 추진

• 중국은 향후 5년간 기술 자립 역량을 강화하고 내수 시장 확장을 목표로 하는 계획을 발표하였으며, 현대적 산업 체계를 구축하려 하고 있습니다. 이 전략은 중국이 산업 생산과 수출에 여전히 의존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