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영역 바로가기

컨텐츠영역 바로가기

네비게이션메뉴영역 바로가기

종목을 찾아볼까요?

칼럼

[선별종목] 25.03.26 (수) 지누스, 성우하이텍, 브이엠

가치투자클럽
2025-03-26 22:44:19













-------------------------------

25.03.26 종가: 21,550원


지누스는 현대백화점 그룹에 속하는 매트리스 및 침대프레임, 소파 등을 판매하는 기업입니다. 매트리스를 소형 박스에 포장하면서 아마존에서 판매 1위를 달성하는 등 한때 크게 이슈가 되기도 했던 기업입니다. 




하지만 미국 주요 고객사의 발주 감소와 소비 심리 악화 등으로 실적이 악화되면서 주가는 내리막길을 겪었습니다. 현재 주가는 24년 바닥에서 2배 정도가 올랐지만 21년 고점 대비해서는 여전히 1/4 수준에 불과합니다. 




카테고리별 실적 구분을 보면 매트리스 부문은 지속적으로 성장했지만 침실가구 매출 감소가 컸습니다. 24년 침구 프레임 매출은 2,250억원으로 22년 대비 -52.9%가 감소했습니다. 



24년 실적을 보면 23년 대비 매출액과 영업이익이 모두 역성장했습니다. 영업이익은 적자전환했고요. 그럼에도 주가는 24년 4월을 저점으로 반등했습니다. 3분기부터 실적 턴어라운드에 성공했기 때문입니다. 



회사는 구조개편을 통해 1) 적자 제품사업을 정리하고, 2) 보유 재고를 축소하여 미국 내 임차 창고를 24년 8개에서 4개로 줄였습니다. 25년 하반기에는 2개로 줄인다고 하고요. 이를 통해 수익성이 개선되면서 24년 3분기에는 4.4%, 4분기에는 5.5%의 영업이익률을 기록했습니다. 




24년 상반기까지 우려가 있었던 고객사 내의 과잉재고도 해소가 되었습니다. 현재 적정재고 수준까지 도달하여 25년에는 판매가 정상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24년 미국 반덤핑 2차 연례재심에서 관세율 0%를 판정 받은 것도 긍정적입니다. 25년 2월 최종적으로 원심이 파기되었기에 기납부한 관세 400억원이 환급될 예정입니다. 



3월 25일 NH증권의 NR (목표주가 미제시) 보고서가 있었는데요. 반덤핑 관세 환급을 기반으로 실적 추정치를 높였고, 3분기 이후 비매트리스 사업 개선으로 실적 턴어라운드가 기대된다는 내용이었습니다. 영업상황을 보면 바닥을 찍고 반등을 할 가능성이 높아 보이긴 하고요. 



기관은 사모, 투신, 연기금이 20억원 순매수를 보였습니다. 2년 내 1위, 3년 내 2위에 해당하는 강한 순매수입니다. 25년 연초대비 주가가 -24% 하락한 상황이라 주가 부담도 없고, 실적 턴어라운드 강하게 나오니 관심을 갖는 듯합니다. 



-------------------------------

25.03.26 종가: 6,210원


성우하이텍은 자동차 차체부품을 생산하는 기업입니다. 주요 매출처는 현대차그룹과 한국GM 그리고 해외현지법인 통한 폭스바겐, BMW, GM 등에도 부품을 공급하고 있습니다. 기존 제품 외 전기차 배터리시스템 (BSA), 수소저장장치, 열화상카메라, 라이다 등의 신기술도 개발하고 있고요. 



성우하이텍 생산 부품 (출처: 성우하이텍 홈페이지)


성우하이텍은 23년 주가가 16,370원까지 올랐는데요. 우선 현대차그룹 판매량 증가에 따른 실적 호조가 있었습니다. 또한 2차전지 시황이 좋을 때 전기차 배터리팩 사업을 신규로 시작하면서 기대감도 붙었고요. 



성우하이텍은 현대차에서 대규모 미국투자를 할 때 가장 강하게 반응한 기업 중 하나입니다. 3월 24일 자동차에 대한 품목관세 발표가 미뤄지면서 10.86%가 올랐고요. 다음날 현대차가 미국에 31조원 규모의 투자를 발표했을 때 시초가가 29.22%로 시작했습니다. 물론 자동차 기업들 대부분이 시초가에서 밀렸고 성우하이텍도 5.6% 상승으로 마감했지만요. 



그리고 현대차의 투자 발표 다음날인 오늘 기관은 11억원 순매수가 들어왔습니다. 1년 내 1위에 해당하는 규모입니다. 주가는 바닥권이라 큰 부담은 없고 실적 반등에 대한 기대감 + 현대차 투자의 수혜를 기대하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1) 러-우 전쟁 종료 수혜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전쟁이 마무리되면 현대차의 러시아 공장 재매입 가능성이 높죠. 현대차그룹은 러시아 22만 대 규모 공장 + 당시 인수한 GM 10만 대 규모 공장 도합 32만 대 Capa입니다. 종전 후 현대차는 빠르게 시장점유율을 높여갈 가능성이 높다고 봅니다. 


성우하이텍은 2010년 러시아에 현대차와 동반진출해 샤시를 공급해 왔고요. 또 21년 포드의 자동차 공장을 1,100억원에 직접 인수 (현 SV Rus)해 가동을 앞두고 있었는데 현재 무기한 연기 중입니다. 애널리스트들은 러시아에서 2~3천억원 이상의 추가 매출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2) 현대차 북미 투자 확대

현대차의 북미 투자 중 핵심이 HMGMA Capa를 30만대에서 50만대로 늘린다는 것이었습니다. HMGMA는 조지아주에 위치한 전기차 전용 공장입니다. 성우하이텍은 차체와 더불어 신사업인 배터리 시스템 (BSA), 배터리 모듈 (BMA), 배터리 케이스 (BCA) 생산이 있어 HMGMA 증설의 수혜가 예상됩니다. 




배터리 모듈은 배터리 셀을 일정한 개수로 묶어 모듈로 만든 것입니다. 이 모듈 여러 개가 철제로 된 배터리 케이스 (BCA)에 담기게 되고요. BCA와 냉각시스템, 센서, BMS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 등이 통화된 제품이 배터리 시스템 (BSA)입니다. 




러-우 전쟁 종료, 전기차 판매 확대 수혜, 현대차 북미 투자 확대 수혜 기반으로 성우하이텍의 실적 개선이 기대되는 25년인데요. 주가는 여전히 바닥에 머물고 있습니다. PBR 밴드로도 하단에 머물고 있고요. 뭔가 끼가 있어 보이니 자동차 관련 모멘텀이 붙으면 잘 봐야 할 회사 같기는 합니다. 






-------------------------------

25.03.26 종가: 12,120원


브이엠은 에이피티씨가 24년 3월 사명을 바꾼 회사입니다. 반도체 전공정에 사용되는 건식 식각장비를 제조하고 있습니다. 특히 브이엠이 보유한 '플라즈마 소스' 기술은 현재 300mm 웨이퍼용 반도체 건식 식각장비의 원천기술로 적용되어 외산장비를 대체하는 중요한 기반이 되고 있습니다. 



참고로 습식 식각은 화학용액을 이용하여 원하는 부분을 용해하는 방식입니다. 공정이 간단하고 빠르지만 미세공정에는 부적합하다는 평가고요. 건식 식각은 플라즈마나 이온 가스를 이용하여 재료를 깎아냅니다. 미세 공정에 유리하지만 장비가 비싸고 공정 속도가 느린 단점이 있습니다. 



SK하이닉스가 사용하는 식각 장비 중 국산화 장비를 공급하는 곳은 브이엠이 유일합니다. 현재 시장 점유율은 8% 수준으로 추정되는데 점차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고 봅니다.



브이엠은 Poly (폴리실리콘 식각)와 메탈 식각 장비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고객사 내 D램과 낸드 용 장비를 모두 공급한다고 하고요. 



21년, 22년 반도체 호황에 전방업체들이 막대한 투자를 하면서 좋은 실적을 냈는데요. 이후 전방업체 투자 부진으로 23, 24년 부진한 실적을 기록했습니다. 



그래도 24년에는 SK하이닉스의 HBM을 위해 D램 1b 공정 전환 투자를 진행하면서 매출액이 증가했고요. 영업이익 흑자전환을 기대하기도 했지만 24년에도 적자를 면치 못하면서 주가는 부진했습니다. 



투자포인트는 크게 3가지입니다. 


1) 25년에도 SK하이닉스의 HBM 투자는 이어지고 있죠. 이에 관련 투자가 늘어날 것이라는 기대가 있습니다.


2) Oxide 공정에 신규 진입을 준비 중입니다. 

옥사이드는 웨이퍼에 얇은 산화막을 형성하는 공정입니다. 반도체 회로의 절연과 보호 등의 목적을 위한 공정이죠. 옥사이드 식각은 산화막 필요없는 부분을 제거하는 공정을 의미하고요. 이 장비는 램리서치와 TEL (도쿄 일렉트론)이 장악하고 있습니다. 


3) 북미 업체향 메탈 장비 진입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25년 상반기 퀄 테스트 마무리 후 25년 진입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반도체 업체들의 투자가 제한적인 가운데 24년 턴어라운드 및 26년까지 성장이 지속될 것으로 기대되는 몇 안 되는 반도체 장비업체입니다. 



오늘 기관은 투신이 17억원을 순매수했습니다. 사모의 순매도에 기관 전체 순매수는 8억원이었지만요. 기관 순매수 규모는 1년 내 4위입니다. 



기관 순매수와 함께 거래가 터지면서 주가는 11%가 급등했는데요. 신규 장비 납품 등 뭔가 호재가 있는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향후 관련 뉴스나 이슈가 나오지 않을지 지켜봐야 할 것 같습니다. 







유료구독자 전용 컨텐츠 입니다.

50,000원 / 월

가치투자클럽 구독으로
더 많은 콘텐츠를 만나보세요!

여의도에서 가장 신뢰하는 1등 채널의 킬러 콘텐츠

4월 2일 미국주식 수급분석

25.04.04 09:20

[선별종목] 25.04.03 (목) 관세 파고에 ISM비제조업부진으로 침체 우려까지, 한 템포 쉬어가자

칼럼

25.04.03 23:39

4월 1일 미국주식 수급분석

25.04.03 09:51

[선별종목] 25.04.02 (수) 삼립식품, 피부 미용 (클래시스, 아모레퍼시픽, 원텍, CJ)

칼럼

25.04.02 22:04

[선별종목] 25.04.01 (화) 유일로보틱스, HD현대미포, 파마리서치, 보로노이

칼럼

25.04.01 21:59

3월 28일 미국주식 수급분석

25.04.01 07:47

[선별종목] 25.03.31 (월) 공매도 정국 분석

칼럼

25.03.31 23:07

3월 27일 미국주식 수급분석

25.03.31 09:57

[선별종목] 25.03.28 (금) 삼양식품, 큐브엔터

칼럼

25.03.30 18:24

3월 26일 미국주식 수급분석

25.03.28 10:03

[선별종목] 25.03.27 (목) 큐브엔터

칼럼

25.03.27 21:48

3월 25일 미국주식 수급분석

25.03.27 09:57

[선별종목] 25.03.26 (수) 지누스, 성우하이텍, 브이엠

칼럼

25.03.26 22:44

3월 24일 미국주식 수급분석

25.03.26 09:51

[선별종목] 25.03.25 (화) 한국단자, SNT모티브

칼럼

25.03.25 22:03

3월 21일 미국주식 수급분석

25.03.25 09:56

[선별종목] 25.03.24 (월) 현대위아, 현대차, 현대로템, 넥스틸

칼럼

25.03.24 22:26

3월 20일 미국주식 수급분석

25.03.24 10:04

[선별종목] 25.03.21 (금) 원텍, 네오위즈, 시노펙스, 주성엔지니어링, 하나마이크론

칼럼

25.03.23 20:14

3월 19일 미국주식 수급분석

25.03.21 13: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