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영역 바로가기

컨텐츠영역 바로가기

네비게이션메뉴영역 바로가기

종목을 찾아볼까요?

칼럼

[선별종목] 25.02.21(금) 디어유, 롯데쇼핑, 한온시스템 (현대제철, DL이앤씨)

가치투자클럽
2025-02-23 19:35:16


60일 신고가에 새롭게 들어오는 종목 급증, 자동차부품주와 전자장비, 화학 관련주들이 대거 등장













디어유는 에스엠의 100% 자회사 에스엠스튜디오가 지분 31.16%를 보유한 에스엠의 계열사입니다. JYP Ent.도 지분 18.73%를 보유한 2대 주주로 있고요. 



디어유의 핵심사업은 디어유버블입니다. 아티스트와 팬이 1:1로 채팅하는 듯한 형식으로 팬들과 소통할 수 있는 플랫폼입니다. 아티스트와 팬의 유대감을 높일 수 있는 플랫폼인데요. 아티스트의 소속사와 디어유가 계약을 맺어서 디어유가 관련 플랫폼을 제공하는 형태입니다. 이에 JYP도 이 플랫폼을 활용하기 위해 2대 주주로 들어왔다고 볼 수 있죠. 




그런데 금요일 장 마감후 에스엠이 디어유의 지분 11.4%를 1,356억원에 취득한다는 공시가 나왔습니다. 주당 5만원으로 종가 대비 11.7% 프리미엄이 붙은 가격입니다. 



에스엠은 2대주주인 JYP Ent의 지분 191만주와 설립자 안종오 대표를 비롯한 임원의 지분 80만주를 인수하게 되는데요. 계열사를 합한 지분율은 33.79%에서 45.49%로 높아지게 되었습니다. 최대주주 지위는 더욱 공고해졌고요. 


디어유, 텐센트와 손잡고 중국 시장 진출


디어유는 24년 10월 28일 기다리던 텐센트와의 협업 소식이 전해지면서 주가가 상승가도를 이어왔습니다. 디어유는 중국 최대 음악 플랫폼 기업인 텐센트뮤직엔터테인먼트그룹(TME)과 전략적 제휴/서비스 계약을 체결했습니다. 



중국은 지금도 버블 구독자의 35%를 차지할 정도로 가장 큰 시장인데요. 중국은 구글스토어 사용이 금지돼 기존에는 iOS 이용자들만 서비스를 이용했습니다. 그런데 TME와의 협업으로 텐센트의 'My APP' 앱 마켓에서 버블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면서 중국에서 77%를 차지하는 안드로이드 OS 사용자를 공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TME는 그룹 내 다른 음악 플랫폼인 쿠거우뮤직(KuGou Music), 쿠우뮤직 (Kuwo Music) 및 기타서비스에서 더 많은 협력을 수행할 예정입니다. TME의 플랫폼들은 MAU (월평균 이용자수) 5억명, 유료 구독자수 1.2억명 이상을 보유하고 있습니다. 



디어유는 TME가 판매하는 대금의 10%를 로열티로 인식할 전망인데요. 유료구독자 1인당 연 4천원 정도의 수익이 나올 것으로 추정이 됩니다.



TME 사용자의 1%만 침투하면 연매출은 200억원, 5%면 1,000억원까지 나올 수 있습니다. 24년 매출이 800억원이 안 됨을 감안하면 유의미한 규모입니다. 이 매출은 로열티다 보니 영업이익률이 높을 수밖에 없다는 것도 긍정적이고요. 



물론 어느 정도는 실적 증대가 주가에 이미 녹아있기는 합니다. 한한령 해제에 대한 기대감으로 최근 급등한 것도 있고요. 그래도 TME의 중국 서비스가 3~4월 중에 시작될 예정임을 감안하면 주가 조정은 매수의 기회로 봐도 될 것 같습니다. 



롯데쇼핑은 롯데백화점, 롯데마트, 롯데 슈퍼 , 이커머스, 홈쇼핑 등 롯데그룹의 유통사업을 전담하고 있는 회사입니다. 24년 3분기 기준 백화점이 22.9%, 할인점이 40.4%, 하이마트가 17.1%, 슈퍼 부문이 9.5%, 홈쇼핑이 6.4%의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롯데백화점은 직영 백화점 29개, 해외 4개, 수탁 운영 2개 (영등포, 대구)와 아울렛 22개, 쇼핑몰/피트인 6개점 등 총 63개점을 운영 중입니다. 



할인점은 롯데마트 매장 105개, 창고형 할인매장 6개를 합해 총 111개 매장을 운영하고 있고요. 디지털 풀필먼트 시스템을 구축한 온오프라인 통합 매장 스마트스토어 8개 있고요. 해외 매장은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에 67개 매장을 운영하고 잇습니다. 



롯데 슈퍼 사업부는 직영점 176개, 가명점 152개, 씨에유통을 통해 28개점을 운영 중이고요. 





매출 비중은 할인점이 가장 크지만 영업이익은 백화점의 비중이 높습니다. 3분기 누적으로 백화점 비중이 67.5%, 할인점이 22.1%, 롯데 슈퍼 11.4%, 하이마트 5.5%, 홈쇼핑 11%의 비중을 차지합니다. 



롯데쇼핑도 이마트와 마찬가지로 국내 유통사업의 성장성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면서 주가 조정이 컸습니다. 실제 매출액은 20년 15.6조원에서 24년 14조원까지 꾸준한 감소를 보였고요. PBR은 0.2배 밑으로 떨어졌습니다. 



25년 경영 목표는 매출액 14조원, 영업이익 6,000억원을 제시했습니다. 매출액은 24년 큰 차이가 없는데 영업이익이 20% 이상 증가하는 것입니다. 이는 24년 영업이익 중 통상임금 관련 1회성 비용 532억원을 비롯한 일회성 비용 소멸 효과와 수익 구조 효율화로 달성할 수 있다는 설명입니다. 



롯데 쇼핑은 2월 5일 자산재평가가 있었습니다. 보유 토지를 재평가한 것인데요. 자산재평가를 통해 자본이 7.2조원 증가했습니다. 이에 부채비율이 190%에서 128%로 크게 낮아지면서 기업의 재무건전성이 개선되었고요. 다만 자산재평가가 기업의 영업에 영향을 주는 것은 물론 아닙니다. 자본 대비 이익률인 ROE는 낮아지게 되고요. 



롯데쇼핑도 최근 이마트와 같이 주가가 반등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기관은 연기금을 중심으로 6일 연속 순매수를 보였고요. 금요일에도 연기금은 중심으로 44억원 순매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1년 내 1위, 2년 내 3위에 해당합니다. 



현대건설, 이마트 최근 화학주들의 움직임과 마찬가지로 그동안 크게 부진했던 기업들의 반등이 나오고 있습니다. 3월 31일 공매도 재개와 전혀 무관하진 않은 듯한 움직임입니다. 



보통 공매도가 시장에 악영향을 준다고만 생각하는데요. 공매도는 결국 언젠가는 주식을 사서 갚아야 합니다. 그러니 주야장천 주가를 내리는 역할을 하는 것이 아니라 빠르게 바닥을 잡아주는 역할도 한다는 거죠. 또한 공매도가 있어야 외국인들은 다양한 전략을 실행할 수 있어 한국 시장으로 유입이 더 가속화될 수 있습니다. 



얘기드렸던 것처럼 공매도가 바닥에 있는 기업들의 반등을 만들어 낼 수 있다고 한다면 그동안 과도하게 하락했던 섹터의 되돌림을 예상할 수 있는 부분이죠. 개인적으로 롯데쇼핑보다 이마트의 매력도가 높아 보이지만 최근 동향을 보면 둘은 페어로 움직일 가능성이 크니 포트폴리오로 묶어서 대응하면 좋을 듯합니다. 






-----------------------------

25.01.08 코멘트, 종가 4,600원



한온시스템은 24년 5월 한국앤컴퍼니그룹 (한국타이어)으로 피인수가 결정되었습니다. 그리고 25년 1월 6일 한국앤컴퍼니 그룹이 한온시스템 인수를 최종 완료했다고 밝혔습니다. 2014년 처음 19.5% 지분을 확보한 이후 10년 만에 인수를 마무리한 것입니다. 



주가는 1월 5일부터 상승이 시작됐습니다. 기관도 그날부터 4일 연속 순매수고요. 오늘은 투신을 중심으로 기관이 80억원 순매수가 들어왔는데 이는 2년 내 1위, 3년 내 1위에 해당하는 강한 순매수입니다. 상대 강도도 4위였고요. 



한온시스템은 자동차 열관리시스템을 제조하는 회사입니다. 주요 제품은 자동차용 에어컨 (HVAC), 파워트레인 쿨링 (PTC), 압축기 (COMP), 플루이드 트랜스포트 (FT), 유압제어장치 (E&FP) 등입니다. 



전기차의 성능과 전력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 열관리 솔루션이 부각되었는데요. 이에 전기차 관련주로 높은 밸류를 받기도 했으나 실적이 역성장하면서 주가도 크게 무너졌습니다. 



기관이 강하게 순매수한 것을 보면 한국앤컴퍼니그룹으로 피인수된 이후 뭔가 구체적인 사업 전략이 있는 게 아니가 싶은데 요것도 일단 관심을 갖고 동향을 볼 회사 같습니다. 


-----------------------------

25.02.21 코멘트, 종가: 4,505원


한온시스템은 정확하게 1월 8일을 고점으로 주가가 조정을 받은 후 횡보 흐름이 이어졌습니다. 그동안 연기금을 중심으로 기관은 22일 연속 순매수를 이어가고 있고요. 2월 12일 이후로는 순매수 규모가 더 커졌습니다. 금요일은 24억원 순매수로 1년 내 5위를 기록했고요..


현대차그룹·GM, 전략적 공생… 생산 시설 공유로 美관세 회피 < 자동차·모빌리티 < 모빌리티 < 기사본문 - IT조선


현대차그룹은 지난 2월 20일 GM과 글로벌 공장을 공유하며 전략적 공생 관계를 맺는다는 기사가 나왔습니다. 다음 달인 3월에 1차 포괄적 협력 방안을 공개한다고 하고요. 



이에 GM에 램프를 공급하는 에스엘의 주가가 +18% 상승했습니다. 한온시스템도 GM의 파트너로서 부품을 공급하고 있어 금요일에 더 관심을 받은 게 아닌가 싶습니다. 



트럼프 정권에서 관세에 대한 부담이 있었던 만큼 이번 협력관계 구축으로 미국 관세 부담에서 벗어난다면 자동차와 자동차부품주들의 숨통이 트일 가능성이 있을 것 같습니다. 








유료구독자 전용 컨텐츠 입니다.

50,000원 / 월

가치투자클럽 구독으로
더 많은 콘텐츠를 만나보세요!

여의도에서 가장 신뢰하는 1등 채널의 킬러 콘텐츠

[선별종목] 25.04.24 (목) OCI홀딩스, 한화솔루션, 삼성에스디에스

칼럼

25.04.24 23:10

4월22일 미국주식수급분석

25.04.24 08:54

[선별종목] 25.04.23 (수) 에스피지, 동성제약, 유니드

칼럼

25.04.23 23:18

4월18일 미국주식 수급분석

25.04.23 08:55

[선별종목] 25.04.22 (화) 메지온, LIG넥스원

칼럼

25.04.22 23:04

[선별종목] 25.04.21 (월) 엔달러 환율에 대한 경계 필요, LS ELECTRIC, 한화엔진

칼럼

25.04.21 23:13

4월 17일 미국주식 수급분석

25.04.21 08:54

[선별종목] 25.04.18 (금) 제주은행, 한전KPS, 와이지엔터테인먼트, 마이크로컨텍솔

칼럼

25.04.20 20:18

4월 16일 미국주식 수급분석

25.04.18 09:53

[선별종목] 25.04.17 (목) 비아이매트릭스, 선진뷰티사이언스, 큐브엔터

칼럼

25.04.17 22:48

4월 15일 미국주식 수급분석

25.04.17 09:44

[선별종목] 25.04.16 (수) 동원산업, 동원F&B

칼럼

25.04.16 22:46

4월 14일 미국주식 수급분석

25.04.16 09:49

[선별종목] 25.04.15 (화) 비에이치아이, 와이씨켐, 가온전선, 카지노

칼럼

25.04.15 23:17

4월 11일 미국주식 수급분석

25.04.15 09:55

[선별종목] 25.04.14 (월) 솔트룩스, 지엔씨에너지, 한화엔진, 현대엘리베이

칼럼

25.04.14 22:26

4월 10일 미국주식 수급분석

25.04.14 09:56

[선별종목] 25.04.11 (금) 조선, 주성엔지니어링, 현대엘리베이터

칼럼

25.04.13 17:31

4월 9일 미국주식 수급분석

25.04.11 08:35

[선별종목] 25.04.10 (목) 지누스, 알래스카LNG (넥스틸, 세아제강지주)

칼럼

25.04.10 22: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