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더영역 바로가기

컨텐츠영역 바로가기

네비게이션메뉴영역 바로가기

종목을 찾아볼까요?

칼럼

[선별종목] 25.07.23 (수) 네오팜, 자동차/자동차부품

가치투자클럽
2025-07-23 22:20:56



바닥시그널 없음








[사업 내용]


네오팜은 화장품을 제조, 판매하는 회사입니다. 민감피부 전문 스킨케어 제품인 아토팜과 제로이드를 중심으로 피부 보습 더마 코스메틱 제품 리얼베리어, 더마비, 메디컬 디바이스 제로이드 MD 등 다양한 제품 라인업을 구축하고 있습니다.


실적 추이를 보면 2019년까지 꾸준히 성장을 이어오다가 코로나 이후 주춤했는데요. 23년 들어 다시 성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4년 연속 800억원대 매출에서 벗어나지 못했는데 23년에는 971억원, 24년에는 1,190억원으로 빠른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영업이익률도 19년 27.6%에서 20년 26.8%, 21년 25.5%, 22년 25.2%로 점점 낮아졌는데요. 23년에는 반등하여 26.1%를 기록했습니다. 24년에는 다시 20.7% 수준으로 떨어진 것이 아쉽지만요. 



다른 화장품 업체대비 영업이익률이 높은 편입니다. 이는  제품 개발부터 생산, 판매까지 모두 직접 담당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25.07.23 종가 19,640원


네오팜은 올해 5월 정도만 해도 10,000원~13,000원 사이를 지루하게 오가는 정도였는데요. 1분기 실적 발표 이후로 조금씩 분위기가 바뀌었던 것 같습니다. 



25년 1분기 매출액은 316억원, 영업이익은 78억원으로 각각 전년동기 대비 +12.0%, +14.6% 증가했습니다. 컨센서스 대비해서 매출액은 소폭 하회, 영업이익은 소폭 상회였습니다. 





실적을 세분화해서 보면 국내 온라인 채널은 전년동기 대비 대동소이했고, 오프라인 채널에서 18%가 성장했습니다. 수출도 9% 성장하긴 했지만 다른 업체들에 비해 괄목한 만한 성장은 아니었습닏. 



잠정 공시가 5월 9일 발표되었는데 그 이후 주가가 15,000원 수준까지 올랐지만 그렇다고 강한 상승 흐름을 보인 것은 아니었습니다. 



주가는 25년 7월 16일 이후 급등하고 있는데요. 7월 16일 8.4%, 17~18일 소폭 조정 후 21일 3.7%, 22일 7.7%, 그리고 오늘 23일 9.4%가 올랐습니다. 



이는 7월 8일~11일까지 진행한 아마존 프라임데이에서 아토팜의 민감 피부 브랜드 아토팜이 좋은 성과를 거두었기 때문입니다. 



대표제품인 MLE크림은 프라임데이 기간 매출이 전년 대비 1,595% 가량 증가했습니다. 이에 아마존 베이비 로션 카테고리에서 4위까지 올랐고요. 매출 규모가 작았으면 성장률이 높아도 무의미하겠지만 4위를 기록할 정도인 것을 보면 의미있는 매출을 기록했다고 볼 수 있을 듯합니다. 



최근에는 구독자 80만 명을 보유한 유명 틱톡커가 MLE 크림에 대해 ‘민감한 아기 피부를 위한 크림’으로 추천하는 영상이 조회수 250만회를 기록하면 입소문을 타기도 했습니다. 



네오팜은 과거 제로이드 제품의 실비 보험 논란으로 성장성이 꺾이기도 했었는데요. 당시 제로이드 MD 크림에 대한 실비 청구가 급증하면서 보험사들이 제동을 걸었던 영향입니다. 



이후 병원용 브랜드였던 제로이드는 24년 8월 올리브영에 입점하면서 안정적인 실적을 내고 있습니다. 롯데/신라/신세계 등 면세점에도 입점하였고요. 



예전에 네오팜은 중국 시장 성장 기대감이 있었다가 한한령 이슈로 무너졌었죠. 이번에도 다시 한한령 해제의 수혜를 기대할 수 있는 상황에서 중국 시장 + 제로이드 기반 국내 시장 성장도 기대할 수 있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성장이 나오는 화장품이라고 본다면 25년 예상 실적 기준 PER 11.8배는 싸다고 볼 수 있는데요. 기관은 투신을 중심으로 45억원을 순매수했네요. 이는 3년 내 1위입니다. 회사 내용을 더 파볼 필요가 있겠습니다. 






예상대로 오늘은 자동차 기업들이 대거 기관수급 상위주에 포진했습니다. 그동안 자동차 기업들은 관세 우려와 판매 피크아웃 우려로 조정이 컸었죠. 



현재 대미 자동차 관세는 25%입니다. 그런데 일본이 미국과의 협상을 통해 25%의 절반인 12.5%를 얻어냈습니다. 물론 12.5% 관세부담도 실적에 악영향을 주는 부분인데 더 쎄게 맞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가 생각보다 약하게 맞으면서 환호하는 상황입니다. 



우리나라 자동차 업체들의 관세는 어떻게 될지 모르지만 그래도 일본을 봤을 때 협상의 여지가 있다는 것 만으로도 시장은 안도한 것 같습니다. 



현대차는 기관과 외국인이 모두 1년 내 1위 규모의 순매수를 기록하면서 8%가 상승했습니다. 기아도 기관은 1년 내 3위, 외국인이 1년 내 1위 규모 순매수를 보이며 8% 상승했고요. 



오늘 코스피 시장 외국인의 순매수 규모가 4,219억원이었는데요. 현대차와 기아의 외국인 순매수 합이 4천억원 수준이었습니다. 사실상 자동차만 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입니다. 



관건은 자동차 관세의 상승 흐름이 이어질 수 있느냐가 될 것 같습니다. 단기에 재료가 소멸될 것인지는 시장을 보면서 잘 판단하셔야 할 듯합니다. 



다만, 자동차가 지금 대세 상승의 국면으로 갈 수 있을만큼 업황이 좋은지 생각해보면 그건 아닌 것 같습니다. PER, PBR이 낮은 상황에서 악재가 소멸되면서 정부 정책 (상법 개정)의 수혜가 예상된다 정도가 아닐까 싶네요. 













































유료구독자 전용 컨텐츠 입니다.

50,000원 / 월

가치투자클럽 구독으로
더 많은 콘텐츠를 만나보세요!

여의도에서 가장 신뢰하는 1등 채널의 킬러 콘텐츠

[선별종목] 25.07.24(목) 한화엔진, HD현대에너지솔루션

칼럼

25.07.24 23:19

[선별종목] 25.07.23 (수) 네오팜, 자동차/자동차부품

칼럼

25.07.23 22:20

[선별종목] 25.07.22 (화) 매커스, HD현대일렉트릭, 비에이치

칼럼

25.07.22 23:37

[선별종목] 25.07.21 (월) 태웅, 두산에너빌리티, 일진전기

칼럼

25.07.21 23:03

[선별종목] 25.07.18 (금) 삼성전자 P4투자, 넥스틸, 녹십자, PI첨단소재

칼럼

25.07.20 16:54

[선별종목] 25.07.17 (목) 현대코퍼레이션, 에이비엘바이오, 광주신세계, 일동제약

칼럼

25.07.17 23:39

[선별종목] 25.07.16 (수) 마이크로컨텍솔, LF, 대덕전자, 덕산네오룩스

칼럼

25.07.16 23:23

[선별종목] 25.07.15 (화) 스맥, 쿠쿠홈시스, 에이비엘바이오

칼럼

25.07.15 22:40

[선별종목] 25.07.14 (월) 대한항공, 현대홈쇼핑, 현대차, 증권주

칼럼

25.07.14 23:14

[선별종목] 25.07.11 (금) 이녹스첨단소재, KCC, 삼성에스디에스, 현대제철

칼럼

25.07.13 17:00

[선별종목] 25.07.10 (목) KCC, 리가켐바이오, 오리온홀딩스

칼럼

25.07.10 22:50

[선별종목] 25.07.08 (화) YG PLUS, 형지엘리트

칼럼

25.07.08 23:36

[선별종목] 25.07.07 (월) 한한령 해제 수혜주

칼럼

25.07.07 21:56

[선별종목] 25.07.04 (금) 글로벌텍스프리, 미투온, 태광산업, 셀트리온

칼럼

25.07.06 19:40

[선별종목] 25.07.03 (목) 아이스크림미디어, 리가켐바이오

칼럼

25.07.03 23:17

[선별종목] 25.07.02 (수) 바이오, 휠라홀딩스, 에스앤에스텍

칼럼

25.07.02 20:55

[선별종목] 25.07.01 (화) HD현대건설기계, HD현대인프라코어, 태광산업, 지주사

칼럼

25.07.01 23:14

[선별종목] 25.06.26 (목) 해성디에스, 코오롱

칼럼

25.06.26 23:14

[선별종목] 25.06.25 (수) 전진건설로봇, 현대건설, 세아베스틸지주, 코오롱인더

칼럼

25.06.25 23:01

[선별종목] 25.06.24 (화) 스테이블코인

칼럼

25.06.24 22:31